아동인구 비율 전국 평균보다 높은데... 돌봄센터 8곳 그쳐… 區 “대책 강구”
“당장 다음달에 학교 방학이에요. 맞벌이인데 아이를 맡길 곳이 없어 걱정입니다.”
인천 연수구와 서구가 아동 비율이 높은데도 정작 초등돌봄기관인 ‘다함께 돌봄센터’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2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전체 주민 중 아동인구(만 18세 이하)의 비율은 연수구가 19.2%(7만4천43명), 서구는 18.1%(10만6천65명)에 달한다. 이는 인천 전체 평균(15.3%)은 물론 전국 평균(16.4%)보다 높다.
그러나 다함께 돌봄센터는 연수구에 3곳, 서구에 5곳에 그친다. 이 때문에 연수구와 서구에선 연중 입소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신규 센터가 들어서자마자 정원이 가득 차 추가 모집은 사실상 어려운데다, 대기번호를 받고 기다리는 학부모들이 속출하고 있다.
김공임 연수2동 다함께 돌봄센터장은 “매일 쉴새없이 입소 문의 전화가 온다. 센터에서 5㎞ 떨어진 곳에 사는 아이가 있을 정도”라며 “돌봄이 필요한 아이가 많은 걸 알지만 수용할 수가 없다”며 안타까워 했다.
센터는 아동복지법에 따라 돌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돌봄이 필요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소득 수준과 무관하게 방과후 돌봄 서비스를 제공한다. 학원·과외보다 저렴하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해 맞벌이 부부에게 인기를 끌고 있지만, 연수구와 서구의 늘어나는 아이들을 감당하기엔 센터가 부족한 실정이다.
지난 2021년부터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500가구 이상 아파트엔 센터를 설치할 수 있지만, 입주자 등 주민의 반대로 미뤄지거나 백지화하는 경우가 잦기 때문이다.
장경은 경희대 아동가족학과 교수는 “신도시처럼 아동비율이 높은 곳에서는 센터가 반드시 필요한 시설”이라며 “법으로 센터 설치를 의무화하는 등 강력한 법적 근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수구 관계자는 “공간확보나 입주자들이 동의하지 않아 센터 설치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며 “아동 돌봄 수요가 늘어나는 만큼 대책을 강구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