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과 유정복 인천시장의 공약 중 하나인 ‘경인전철 지하화 사업’이 본격화한다.
인천시는 이달 중 전문기관을 통해 경인국철(경인전철) 지하화 전략 수립 용역에 나설 계획이라고 3일 밝혔다. 이 용역은 내년 7월에 끝난다.
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경인전철 지하화 방안을 마련하고 철도 상부 부지와 주변 지역 재생 마스터플랜을 세울 계획이다. 시는 또 경인전철 지하화 추진에 필요한 특별법 제정 과정에서 시가 제안할 사항들을 정리하고 사업 재원 조달 방안도 마련한다.
경인전철은 지상 철로를 경계로 생활권이 나뉘다보니 그동안 지하화 요구가 끊이질 않았지만, 막대한 사업비 탓에 시작조차 하지 못해왔다. 시는 현재 경인전철 인천역에서 구로역까지 21개역, 27㎞ 구간을 대상으로 추진하며 총사업비는 9조5천408억원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 가운데 인천 구간은 인천역∼부개역 11개역, 14㎞ 구간으로 전체 사업 구간의 절반이 넘는다.
이 때문에 더불어민주당 김경협 국회의원(경기 부천시갑)이 지난해 초 대표발의한 ‘대도시권 철도의 지하화와 지상 부지 통합개발을 위한 특별법안’의 국회 통과가 시급하다. 이 법안은 철도를 지하화하고 상부 공간에 주거·상업·공공시설 등을 통합 개발이 가능하도록 하고, 개발 비용은 원칙적으로 개발 사업자가 부담하지만 국가가 필요한 비용을 보조·융자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시는 용역 추진과 병행해 특별법 제정에 힘을 보태고 내년 상반기 제5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경인전철 지하화 반영을 건의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경인전철 지화하로 단절 생활권을 연결하면 주거환경의 획기적 개선이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이어 “지상 공간 재창출로 원도심 재생과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