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게임산업 매출액 11조… 전국 17개 시·도 중 압도적 ‘1위’ 담당 부서 둘로 나눠져 콘텐츠 산업 체계적 발전 로드맵 미비
국내 최대 규모의 게임산업를 보유한 경기도가 전담 부서의 이원화로 제대로된 지원을 하지 못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4일 도에 따르면 210조원 규모의 글로벌 게임시장에서 우리나라는 게임 강국 4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도의 게임산업 매출액은 11조원가량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압도적 1위(60.5%)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콘텐츠 산업의 융·복합을 토대로 체계적인 육성 전략을 마련해야 하는 게임산업에 대한 도의 지원은 미비한 실정이다. 도의 콘텐츠 정책과 게임산업 정책을 담당하는 부서가 나눠져 있기 때문이다.
정부의 경우 게임산업을 비롯한 콘텐츠 산업 전반을 문화체육관광부가 담당한다. 하지만 도의 경우 게임산업은 경제실이, 이를 제외한 콘텐츠 산업은 문화체육관광국이 전담하고 있어 행정 비효율을 초래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일례로 정부 공모 사업으로 선정된 도와 고양시의 ‘IP융·복합 콘텐츠 클러스터’ 진행과 관련된 비판이 이에 해당된다. 정부와의 협력이 필요한 사업 추진에 있어 신속하고 원활한 소통이 어려울 수 있다는 설명이다.
경기콘텐츠진흥원의 효율적인 관리에 제동이 걸렸다는 의견도 있다.
해당 기관의 주무 부서는 도 문화체육관광국 콘텐츠정책과지만, 일부 운영비 출연금은 도 경제실 미래산업과에서 편성하고 있다. 도의회 업무보고와 예결산 심의 등의 경우 2개 위원회에 대한 대응이 필요해 행정력 낭비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도 문화체육관광국 관계자는 “전국 17개 시·도 중 게임산업을 담당하는 부서가 나뉜 곳은 단 2곳뿐”이라며 “게임산업은 콘텐츠가 핵심인 만큼 체계적인 지원을 위한 대책이 수립돼야 한다”고 밝혔다.
반면 경제실 관계자는 “게임산업은 미래의 경제 성장을 이끌 분야 중 하나로, 과학기술과 접목된 발전 방향이 요구되고 있다”며 “내부의 비판은 어느 정도 이해하지만 경제·산업적으로 추진돼야 한다는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