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硏, 1천명 ‘녹색구매’ 인식 조사… “매우 고려” 17.6% “민간부문 활성화, 탄소중립 관련 법·제도 개선 전략 필요”
경기도민 10명 중 7명은 제품을 선택할 때 기업의 친환경 활동 여부를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은 지난해 10월 경기도민 1천명을 대상으로 ‘녹색구매 관련 인식조사’를 진행했다고 5일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도민 67.3%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할 때 기업의 친환경 활동 여부에 대해 ‘고려한다’고 답했다. ‘어느 정도 고려한다’는 49.7%, ‘매우 고려한다’는 17.6%였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68.5%)은 일반 제품보다 5~10%의 추가 비용이 발생하더라도 친환경 제품을 구매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친환경 제품 구매 경험자 586명의 94.7%도 재구매 의향이 있다고 답하며 녹색구매에 대한 높은 인식도를 보였다. 친환경 제품 시장 활성화를 위해 노력해야 할 주체를 묻는 항목에는 ‘정부’(60.2%)와 ‘기업’(57%)이라는 답변이 많았다. 반면 ‘언론 등 미디어’(14.5%), ‘시민단체’(4.2%)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하지만 도민이 친환경 제품 구매를 주저하는 주된 이유로는 ‘가격’이 꼽혔다. ‘일반 제품 대비 비싼 가격’(58.3%)에 이어서는 ‘취급 품목 상품의 다양성 부족’(38.7%), ‘친환경 제품에 대한 정보 부족’(33.2%), ‘친환경 제품 판매 매장 부족’(29.5%), ‘품질에 대한 낮은 신뢰성’(13.8%) 등의 순이었다.
경기연구원은 녹색구매를 독려하기 위한 방안으로 ‘녹색제품 구매촉진 조례’ 및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조례’와 관련된 법·제도 개선을 제안했다. 인센티브 확대 등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할 제도의 추진과 함께 예산 증대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한국형 ESG 가이드라인을 활용한 녹색구매 포함 ESG 경영 활성화’와 ‘소비자 니즈를 고려한 녹색제품 인증의 범위 확대 및 중소형 녹색매장 확대’ 등을 제안했다. 골목상권활성화지원사업 등의 평가 기준에 ‘ESG 경영의 녹색구매’를 포함하는 등 소비 촉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정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소비자가 녹색제품의 가격에 부담을 느끼는 만큼 녹색제품 인센티브 확대 등 가격 측면에서 직접적인 효과를 줄 수 있는 법·제도 개선과 예산 증대, 민·관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