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만에 맞는 ‘봄 시즌’ 여행 타격... 업계 “중국 찾는 다양한 수요 존재” 입국 금지 등 변수 수출기업 ‘비상’, 방문 비자 미발급… 가족 못 만나
중국행 단기비자 발급이 전면 중단되면서 경인지역 곳곳에서 중국 입국 금지 장기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10일 외교부 등에 따르면 중국의 이번 조치는 한국의 중국발 입국자 방역 강화 조치보다 한층 수위가 높다. 한국 정부는 단기 비자 발급을 중단하면서도 ‘관련 투자 기술제공 등 필수적 기업활동’을 예외 조항에 넣었지만, 중국은 비자 발급 중단 대상에 기업활동에 해당하는 ‘상업무역’을 포함시켰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여행업계는 당장 봄 성수기 시즌을 앞두고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코로나19로 인해 4년 만에 맞는 3~5월 봄 시즌에 중국여행 수요가 서서히 살아날 것으로 보고 다양한 여행 상품을 준비해왔기 때문이다. 한 여행사 관계자는 “중국발 코로나19 재확산에 아직까진 중국여행 예약은 많지는 않지만 여전히 다양한 이유로 중국을 찾는 수요는 존재한다”며 “이 상황이 지속된다면 분명 여행업계에 적지 않은 타격을 줄 것”이라고 걱정했다.
경기도내 소재한 대(對) 중국 수출 기업들은 대응책 마련에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도내 한 수출업체 관계자는 “예정된 수출은 일정대로 진행될 예정이어서 당장은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장기화될 경우 어떤 문제가 생길지 몰라 총력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대(對) 중국 수출액이 크게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중국 입국 금지가 이를 악화시키는 또다른 변수로 작용할지 모른다는 걱정에서다.
취업·유학 등으로 중국에 머무는 가족을 만나려던 시민들도 방문 비자(S2)를 받지 못해 전전긍긍하고 있다. 인천 부평구에 사는 이성문씨(57)는 “아들이 코로나19로 2년간 중국에 묶여 있었다. 이제서야 만날 수 있게 됐는데 지금 상황이면 비자를 받지 못할 것 같다”고 토로했다.
한편 중국은 이날 일본에 대해서도 중국행 비자 수속을 정지했다. 중국은 비자 수속 정지 기간이나 이유를 따로 설명하지 않았다. 앞서 일본 정부는 지난달 30일부터 중국발 입국자에 대해서 출국 전 72시간 이내 코로나19 음성 증명서 제출을 의무화하고 입국 시 코로나19 검사를 시행토록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