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면허 운전·불법 주정차 PM 위험천만… 경기도 대책 모색

경기도, 안전 환경조성 간담회

image
지난 11일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에서 열린 ‘개인형 이동장치(PM) 안전 이용 환경조성을 위한 관계기관 간담회’에서 경기도, 경기교통공사 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경기도가 ‘개인형 이동장치(PM) 주차시설’ 사업의 중단으로 PM 안전 문제가 심각(경기일보 2022년 12월20일자 1면)한 가운데 종합적인 안전 대책 마련을 위해 관계기관과 머리를 맞댔다.

 

12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11일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에서 경기교통공사 등과 ‘개인형 이동장치 안전 이용 환경조성을 위한 관계기관 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 1부에서는 김필수 한국PM산업협회장과 김숙희 수원시정연구원이 각각 ‘경기도 공유 개인형 이동장치(PM) 현황 및 정책 고려사항’, ‘개인형 이동장치 이용 활성화 및 안전관리방안’을 주제로 발표에 나섰다.

 

2부에서는 PM 무면허 운전, 안전모 미착용, 불법 주정차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관계기관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도는 PM과 관련한 주요 민원 사례를 공유하고, 방치 및 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계기관에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허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부위원장(국민의힘·이천2), 김동영 도의원(더불어민주당·남양주4)을 비롯해 경기도남·북부자치경찰위원회 및 경찰청, 경기도교육청, 한국PM산업협회, PM 민간 대여 사업자 등이 참석했다.

 

김동영 도의원은 “PM 이용 편의성과 산업활성화 부분에 공감하며, 미성년자 무면허 운전 등 관련 문제 해결을 위해 교육청, 경찰청 등 관계기관의 협조가 필요하다”며 “공공에서는 행정적 지원, 민간에서는 데이터 공유 등으로 개인형 이동장치 관련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래혁 도 광역교통정책과장은 “변화하는 교통환경에 맞춰 PM에 대한 안전 대책 마련이 중요하다”며 “간담회에서 나온 의견을 반영해 안전한 PM 이용 환경을 만들기 위한 방안을 지속적으로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