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산업국·글로벌도시국 신설
인천시의회 행정안전위원회가 미래산업국과 글로벌도시국 신설을 포함한 ‘인천시 행정기구 설치조례 전부개정조례안’을 사실상 원안 가결했다.
행안위는 이날 제283회 제2차 정례회 폐회중 행정안전위원회를 열고 인천시의 조직개편안을 최종 확정했다. 이날 행안위에서는 글로벌도시국의 위원회의 위원장을 행정부시장에서 시장으로 변경하는 부칙 수정만 이뤄졌다.
행안위는 의견 수렴 과정에서 앞서 논란이 일었던 보건국과 복지국을 합치는 '보건복지국' 신설에 대한 우려를 내비쳤다.
김대영 시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은 “보건과 복지의 현장이 모두 다른데, 합칠 경우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며 “감염병 등 재난상황이 발생할 때를 대비해서 보건국과 복지국의 분리가 필요하다”고 했다.
또 이날 이 시의원은 “환경국 안에 수도권매립지를 담당하는 부서를 넣으면 사실상 수도권매립지정책을 제대로 끌고 가겠다는 것인지 의구심이 든다”고 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보건복지부라는 중앙부처와 연결성을 위해 통폐합을 한 것이다”며 “수도권매립지 부분에 대해서는 소홀히 하는 것 없이 해나가겠다”고 했다.
이에 따라 인천시는 민선8기 공약사항인 제물포르네상스와 행정체제 개편 등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시는 행정국 안에 행정체제개편을 위한 행정체제혁신과를 신설하고, 글로벌도시기획단은 글로벌도시국으로 바꾼다.
이어 글로벌도시국에는 민선8기의 주요 정책인 제물포르네상스개발과, 투자유치과를 신설하고, 글로벌도시계획과와 제물포르네상스계획과, 스마트도시과, 국제협력과, 도시디자인과 등을 포함한다. 미래산업국에는 산업정책과와 창업벤처과, 반도체바이오과, 산업입지과를 신설하고, 데이터산업과와 에너지산업과 등을 재배치한다. 이는 시가 뿌리산업과 소재·부품·장비 산업에서부터 반도체·바이오·블록체인·인공지능(AI)·신에너지 등 특화·전략산업을 육성하고 지원하기 위해서다.
또 시는 환경국 안에 수도권매립지 정책을 담당하는 수도권매립지정책과를 포함하는 등 종전 수도권매립지 종료 등을 담당한 자원순환본부는 폐지한다.
이 밖에도 시는 문화체육관광국 안에 예술정책과와 문화기반과를 새롭게 만들고, 해양항공국 안에 섬해양정책과와 항만연안과, 서해5도특별지원단 태스크포스(TF)도 마련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