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글라스 원격 안전점검’ 겉돈다… 활성화 시급 노동자 안전·점검 사각지대 문제 해소 장점에도 활용 소극적 도·시·군 연계 시스템 구축됐지만 도민신청 없으면 시행 뒷전
경기도가 현장에 나가지 않고도 시설물 안전점검이 가능한 ‘스마트글라스 원격 안전점검’ 활성화에 손을 놓고 있다.
도와 도내 31개 시·군과의 연계 시스템이 구축됐지만, 도민 신청 없이는 점검을 시행하지 않고 있어 현장 노동자의 안전 및 점검 사각지대 문제를 해소할 도 차원의 사업 확대 의지가 시급한 상황이다.
23일 도에 따르면 도가 스마트글라스를 활용해 진행한 원격 안전점검은 지난 2021년 51건, 지난해 9월말 기준 48건이다. 구체적으로 지난해에는 축대·옹벽·댐 17건, 교량·차도 1건, 건축물 7건, 절개지 10건, 주택 11건, 기타 2건에 그쳤다. 활용 가능한 도내 소규모 취약시설만 1만5천337개소지만, 이러한 수요를 충족하기엔 턱없이 부족한 성과다.
스마트글라스는 증강현실과 인공지능 기술 등이 포함된 기능성 안경이다. 현장에 나가지 않고도 실시간으로 점검 대상의 위험요인을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도의 활성화 의지 부족으로 균열과 붕괴 위험에 노출이 쉬운 현장 노동자의 안전에도 적신호가 켜진 상황이다. 도가 해당 사업으로 지난 2020년 행정안전부 ‘첨단정보기술 활용 공공서비스 지원 공모’에 1등으로 선정됐지만, 이후 부진한 실적을 이어왔기 때문이다. 실제 도민안전점검청구제를 통한 안전점검 시행 결과, 지난해 9월말 기준 도내 총 168개의 시설물 위험 요인 중 ‘균열’이 95개로 1위, ‘붕괴’가 30개로 2위를 기록했다.
상황이 이런데도 도는 도민안전점검청구제에 의존해 해당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막대한 이점과 넓은 활용 범위를 지닌 시스템을 구축해놓고도 사실상 도민과 도내 일선 시·군의 신청이 없이는 선제적으로 사업을 확대해나갈 의지를 보이지 않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해당 사업의 확대를 위해 도 차원의 적극적인 홍보·시행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명주 명지대 건축학부 교수는 “도민이 안전점검을 요청하기 전에 도가 적극적인 활용 의지를 보여야 한다”며 “코로나19로 비대면 시대에 돌입하면서 원격 점검의 필요성이 커진 만큼 홍보를 통해 도내 각 지역의 점검 사각지대를 해소할 대책을 논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도 관계자는 “해당 사업이 도에서부터 전국적으로 확대돼야 한다는 필요성은 느끼지만, 도민과 시·군의 신청인 도민안전점검청구제 위주로 진행하다 보니 한계가 있다”며 “스마트글라스뿐 아니라 드론 활용 등 다양한 방식의 안전점검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