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5만9천명… 14년만에 최고치
지난해 자영업자 10명 중 3명은 여성인 것으로 조사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4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1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자영업자 563만2천명 중 여성은 165만9천명으로 전체의 29.5%를 차지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친 2008년(29.7%) 이후 14년 만의 최고치다.
지난해 자영업자에 무급가족종사자(임금을 안 받고 자영업자의 사업체 등에서 일하는 가족이나 친척)를 더한 비임금근로자 역시 여성 비중이 29.5%로 2008년(29.7%) 이후 14년 만에 가장 높았다.
그간 여성 자영업자는 증가세였던 반면, 남성 자영업자는 정체를 보이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여성 자영업자 수는 2009년(166만4천명) 이후 가장 많았는데, 이는 코로나19 전인 2019년(164만1천명)보다도 많았다. 반면 남성 자영업자 수는 1996년 처음 400만명 선을 넘은 이후 증감을 거듭하다 2019년 400만명 선 아래로 떨어졌다. 이후 코로나를 겪으며 2020년(392만명), 2021년(394만9천명)에 이어 지난해까지 4년 연속 400만명 선을 밑돌았다.
아울러 여성 자영업자의 비중은 여성 임금근로자 비중을 크게 하회했는데, 지난해 임금근로자 2천150만2천명 중 여성은 969만4천명으로 전체의 45.1%를 차지했다.이는 여성 자영업자 비중보다 15.6%포인트 높은 것이다. 활발해진 여성의 경제활동이 자영업보단 임금근로에 쏠리는 것이다.
더욱이 여성 자영업자와 여성 임금근로자 비중 간 격차는 점차 커지고 있다.
여성 자영업자와 여성 임금근로자 비중 간 격차는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63년에 3.4%포인트에 그쳤지만 2021년 16.5%포인트까지 벌어져 정점을 찍었다. 지난해에는 소폭 하락해 2021년과 2016년(15.9%포인트)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아울러 여성 자영업자 수는 1963년 58만4천명에서 지난해 165만9천명으로 2.8배 늘었지만 같은 기간 여성 임금근로자는 57만4천명에서 969만4천명으로 16.9배 급증했다. 또 지난해 여성 자영업자 중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가 127만2천명으로 76.7%지만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38만7천명으로 23.3%였다.
지난해 여성 임금근로자는 969만4천명으로 역대 최대였는데 상용근로자가 652만3천명, 임시근로자가 284만8천명, 일용근로자가 32만3천명 등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