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역~부개역 11개 정거장... 철길 상부재생 마스터플랜 구상 주거·상업·공공시설 배치... 원도심 연결 '지역 균형발전' 방점
인천시가 경인국철(경인전철) 지하화 해법 찾기에 나선다.
시는 ‘경인전철 지하화 추진전략 수립용역’에 착수하고, 내년 7월까지 지하화 방안을 마련한다고 18일 밝혔다.
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지하화가 이뤄지는 상부 지역에 대한 재생 마스터플랜을 구상한다.
경인전철 지하화 구간은 인천역부터 서울 구로역까지 27㎞, 21개 정거장으로 이뤄져 있다. 이 중 인천 구간은 인천역에서 부개역까지 11개 정거장, 14㎞이다.
또 시는 사업의 정상 추진을 위한 규제 및 제도를 검토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거버넌스 구축 방안도 모색한다.
특히 시는 이번 용역에 현재 추진하고 있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B노선과 제2경인선 및 서울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 사업 등을 함께 살피고, 수요 변화를 예측한다. 이를 통해 최적의 건설·운영 계획을 마련하고,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할 예정이다.
시는 그 동안 경인국철로 인해 단절해 있던 상부부지에 미래형 도시공간으로 재구조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국내·외 사례를 조사한다. 시는 이를 바탕으로 주거와 상업, 공공시설의 효율적인 배치 구상도를 창조할 예정이다.
앞서 시는 지난 2009년 수도권 지자체 3곳이 구성한 수도권광역경제발전위원회를 통해 처음 논의를 시작했다. 그러나 이후 경제성과 막대한 사업비 등을 이유로 사실상 중단했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2023년 상반기 안에 지상철도 지하화를 위한 특별법을 발의하고, 하반기에는 종합계획 수립에 나서겠다는 구상이다. 시는 국토부 추진계획에 발 맞춰 용역과 공청회, 토론회, 설문조사 등을 추진해 시민 수용성을 높일 방침이다.
조성표 시 교통건설국장은 “경인전철의 지하화는 인천의 원도심 공간을 연결하고, 새로운 미래로 갈 수 있는 동력”이라며 “이번 용역을 통해 300만 인천시민의 숙원을 조속히 해결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