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학생 선수 출석인정일수 대폭 확대…체육계 ‘반색’

초 20일·중 35일·고 50일로 확대…맞춤형 학습지원 방안도 강구

정부의 학생 선수들에 대한 출석인정 허용일수를 늘리는 조치에 따라 그동안 어려움을 겪었던 학교 운동부들이 활기를 띨 전망이다.경기일보 DB

 

운동하는 학생 선수들의 출석인정일수가 대폭 늘어나게 돼 선수와 지도자, 학부모 등 관계자들이 반기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부는 19일 “2023년부터 학생 선수 출석인정 결석 허용 일수를 초등 20일, 중등 35일, 고교 50일로 확대하고 학생 선수 맞춤형 학습 지원방안을 마련해 학습과 운동을 병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스포츠혁신위는 2019년 2월부터 1년간 체육계 구조개혁을 이유로 52개 과제를 권고했다. 이 가운데 ▲학기 중 주중 대회 참가 금지(출석 인정일수 축소) ▲학기 중 주말 대회 전환 ▲소년체전 개편 등 3개 권고안에 대해 현장에서는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탁상행정”이라며 반발했고 이에 정부가 검토 후 개선에 나섰다.

 

2022년 기준 출석인정일수는 초등 5일, 중등 12일, 고교 25일이다. 특히 장기간 동안 대회를 치르는 종목의 경우 대회 출전에 제한을 받으며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는 학생들의 진로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끼쳐 오히려 학업과 운동 중 하나를 포기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내모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에 문체부는 지난해 6월부터 11월까지 학부모, 선수, 지도자, 종목단체 등을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했고, 교육부도 학생 선수 출석인정제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정책연구를 진행해 개선 모형을 개발하는 등 학교 현장의 의견을 청취해 권고안을 개선했다.

 

한편, 출석인정제 개편안은 올해부터 시행된다. 문체부는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는 2025년에는 전체 수업일수의 3분의 1(약 63일)까지 확대를 목표로 설정했다. 더불어 출석인정일수 확대로 학습 결손이 발생하거나 전인적 성장의 기회가 제한되지 않도록 ‘E-SCHOOL’ 플랫폼 확충, 학습지원 멘토단 구성, 보충수업 제도 등을 시범 운영하고 연차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최승호 수원여고 농구부 감독은 “출석일수를 고려해 주말, 방학, 연휴 등이 낀 채 대회를 치르느라 어려움이 많았다. 학생 선수는 물론 지도자들도 고충이 많았다”며 “이번 개선안으로 학교 전문체육이 전반적으로 나아질 것 같다. 또한 경기를 운영하는 단체 측에서도 조금 더 융통성있게 운영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