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기후위기 극복과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반도체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산출·점검한다.
삼성전자는 30일 반도체 사업에 대한 ‘전과정평가(LCA·Life Cycle Assessment)’ 체계를 구축·검증했다고 밝혔다.
전 과정평가는 원료 채취·가공, 제품 제조·운송·사용·폐기에 이르는 모든 과정에 투입되는 물질, 에너지, 폐기물 등을 정량화해 환경 영향을 산출하는 절차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제조사의 통제가능 범위인 원재료 수급단계부터 제품 생산·패키징·테스트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산출한다.
지난해 말 국제표준에 따라 전 과정평가체계를 완성했으며 글로벌 에너지·환경 전문 인증 기관 DNV의 검증도 마쳤다.
이로써 전과정평가를 통해 산출된 탄소배출량을 신뢰할 수 있게 됐다고 삼성전자는 설명했다.
탄소배출량 수치는 저탄소 반도체 개발을 앞당기고 배출량 감축을 확인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삼성전자는 향후에도 한국·미국·중국 소재 글로벌 반도체 생산과 패키징 라인에서 만들어지는 모든 제품을 대상으로 전 과정평가를 운영할 방침이다.
아울러 반도체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물과 자원 등으로 확대해 종합적인 관리체계를 수립할 계획이다.
송두근 삼성전자 EHS 센터장(부사장)은 “전 과정평가체계를 기반으로 반도체 관련 환경정보 공개 투명성을 높이고, 고객사들이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데 적극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