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침내 마스크를 쓰지 않고 출근했다. 뭔가 좀 허전한 것 같기도 한데, 얼마 만에 맛보는 해방감인가. 일부 구역에선 아직도 마스크를 써야 하지만 ‘노 마스크’는 시민들의 발걸음을 가볍게, 표정을 밝게 했다. 코로나19종식을 당장 기대하기는 어렵다 해도 일상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다.
실내 마스크가 해제된 30일부터 은행 영업시간이 예전으로 돌아갔다. 오전 9시에 문을 열고 오후 4시에 닫는다. 2021년 7월12일부터 ‘오전 9시30분~오후 3시30분’으로 줄어들었던 단축 운영이 원래대로 정상화된 것이다. 고객 편의를 위한 당연한 조치다.
은행의 영업시간 정상화는 늦은 감이 있다. 코로나19 이후 은행이 늦게 문을 열고 일찍 문을 닫아 불편이 컸다. 대기 시간이 길어져 30분은 보통이고, 1시간을 넘는 경우도 많았다. 직장인들은 주로 점심시간을 이용하는데, 시간이 부족해 은행 업무를 편하게 보려면 반차를 써야 했다. 인터넷 뱅킹 대중화 등 업무의 상당 부분이 온라인으로 바뀌었어도 여전히 창구에서 대면해야 할 업무가 있기 때문이다.
요즘 은행을 찾는 이의 대부분은 디지털 금융에 약한 노년층이다. 이들은 코로나 기간 중 영업시간이 줄어들고, 점포도 줄면서 은행에 가면 보통 한두 시간씩 기다려야 하는 불편을 겪었다. 은행 업무시간 정상화에 상황이 좀 나아질까 하는 기대감을 갖는다.
그런데 금융노조가 영업시간 정상화에 반발하고 있다. 노조는 영업시간 변경이 노사합의 사항이라며, ‘9시30분 개점’을 주장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1시간 줄였던 것을 정상화하는 것인데 반대라니, 이해가 안 된다. 은행원의 편의만을 고려한 이기적인 행태다. 여기에 어떤 은행은 방문 고객이 적은 지점은 점심시간에 문을 닫겠다고 한다.
고금리로 서민의 등골이 휘는 와중에도 은행은 예대 금리 차이로 막대한 수익을 챙겼다. 그 결과 기본급의 300~400% 성과급 잔치를 벌였다. 그런데도 수익을 가져다준 고객 불편은 아랑곳하지 않고, 자기들 편의만 챙기겠다고 한다. 요즘 유행하는 말로, ‘헐~’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