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회복도 안됐는데 전기·수도료도 오르니 버틸 수가 없어요.”
코로나19와 공공요금 줄인상 여파로 목욕탕이 사라지고 있다.
12일 수원특례시 장안구 파장동 소재 A목욕탕은 40년째 동네를 지켜왔지만 폐업을 고민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영업에 직격탄을 맞은 상태에서 전기료, 난방비 등 공공요금이 상승하며 운영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119㎡ 규모인 해당 목욕탕은 올해 1만3천kWh의 전기를 사용해 약 220만원을 고지받았다. 지난해 초 1천kWh 많은 1만4천kWh 사용에 160만원이 나왔던 것에 비해 약 60만원이 오른 것이다.
온수·난방에 쓰이는 유류비도 상승했다. 매일 1만3천L 기름탱크에 70%정도인 9천L를 채워놨었지만 현재는 3천L를 채워 놓기도 버겁다. 이렇다 보니 고민 끝에 지난해 말 입장료를 1천원 올려 7천원을 받지만 아직 방문하는 단골손님들의 발길이 끊길까 더 올리는 것도 쉬운 결정이 아니다.
A목욕탕 사장 B씨(70대)는 “이미 목욕탕을 운영하는 지인들은 모두 폐업했지만, 60~80대 동네 노인들이 주 고객층인 우리 목욕탕은 손님들이 ‘없어지면 갈 곳이 없다’고 해 막상 폐업을 하기도 어렵다”고 말했다.
규모가 큰 곳도 마찬가지다. 화성시 진안동 소재의 3천305㎡ 규모 C사우나도 업종전환을 고민하고 있다. 코로나19 발생 전에는 한 달 기준 1만2천명이 방문했었지만 현재는 약 40% 줄어든 7천명 정도가 방문하고 있다. 코로나19 기간동안 전기세도 한 달에 1천700만원에서 현재 2천400만원으로 약 30% 상승해 감당이 힘들어졌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코로나19가 시작된 지난 2020년부터 지난달 31일 기준 경기도 내 목욕탕·찜질방·사우나 등 ‘목욕장업' 178곳이 폐업해 761곳이 남았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난해 4월 전면 해제되고 최근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도 권고로 조정됐지만, 여전히 목욕탕은 위험하다는 분위기가 팽배하다는 게 업주들의 설명이다. 특히 전기·가스·수도요금 등 목욕탕 운영 전반에 필요한 모든 요금이 상승해 ‘손님도 없는데 나가는 돈만 많아졌다’는 탄식이 이어진다.
한국목욕업중앙회 관계자는 "코로나19로 3년간 영업이 크게 제한되며 회복이 되지 않았는데 공공요금 인상까지 이어져 동네 작은 목욕탕들도 폐업이 이어지고 있다"며 “정부나 지자체에서 갈 곳 없는 취약계층이나 어르신, 노동자들을 위한 목욕 바우처를 활성화하고 목욕장을 거점화해 상생하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