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전국 시·도 중 발생건수 ‘3위’... ‘체계적인 관리’ 시·군과 머리맞대 교통·제품·식품 등 6개 분야 추진
경기도가 전국 최상위권인 ‘어린이 안전사고 발생’에 대한 체계적인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도내 일선 시·군과의 종합 데이터 구축에 나선다.
지난해까지 도와 도내 시·군 간 소통 부족으로 행정 비효율을 초래해 도내 어린이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아왔기 때문이다.
13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올해 ‘2023년 경기도 어린이 안전 시행계획’을 통해 도와 도내 시·군 간 어린이 안전 사업 데이터를 총괄적으로 관리한다. 정부 지원을 제외한 도내 어린이 안전 정책이 종합적으로 발표된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도는 전국 최상위권을 차지하는 어린이 안전사고에도 어린이 안전 관리에 미흡한 대처를 이어왔다. 도와 한국소비자원의 ‘어린이 안전사고 동향 분석(2022)’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전국 17개 시·도에서 발생한 ‘14세 이하 어린이 안전사고’ 중 도내 발생 건수가 3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도는 교통·제품·식품·환경·이용시설 안전관리 및 안전교육 6개 분야 17개 추진 과제로 나뉘는 어린이 안전 시행계획을 발표했다. 총사업비 118억8천700만원이 투입된다. 지자체의 역할이 강화된 안전 지원 사업을 선제적으로 추진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번 계획에는 도내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찾아가는 어린이 자전거 안전교육’과 ‘어린이 통학버스 운행기록장치 점검 및 설치 확대’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시·군과 경찰서, 한국교통안전공단 등 유관기관과의 합동 점검을 추진해 운행기록장치 미부착 시 적발 1차 50만원, 2차 100만원, 3차 15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또 ‘어린이 이용시설 종사자의 안전교육’을 통해 응급상황 행동 요령 및 응급처치 실습 교육 등을 확대 지원한다. 어린이와 대면하는 이용시설 종사자에게는 어린이 안전 교육 이수를 의무화해 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하겠다는 방침이다. 앞서 지난해 도내 어린이 이용시설 종사자 7만3천302명이 이 같은 내용의 안전교육을 이수한 바 있다.
도 관계자는 “도는 지난해부터 ‘경기도 어린이안전 시행계획’을 수립했다. 올해 두 번째 수립된 계획은 도와 시·군의 역할을 한층 강화하는 방향으로 마련됐다”며 “도내 어린이들의 안전한 일상생활을 위해 도가 시·군, 경찰서 등 유관기관과 함께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