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LH·사장 이한준)가 공공기관 최대 규모인 ‘10조원’ 가량의 공사·용역을 신규 발주한다.
앞서 2021년엔 9조7천억원, 2022년엔 9조9천억원 규모의 공사·용역을 발주했는데, 올해도 건설산업 경기 부흥을 위해 10조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하겠다는 구상이다.
15일 LH에 따르면 올해는 공사 부문 9조원, 용역 부문 1조원 규모가 책정됐다. 최근 대출금리 상승, 건설원가 급등, 부동산PF 불안정 등으로 건설 경기가 침체되는 상황을 감안해 지난해보다도 두 달을 앞당겨 발주 계획을 확정한 상태다.
특히 건설산업 유동성 제고를 위해 상반기 발주 비중을 확대했다. 전체 10조원 중 4조4천억원(44%)이 상반기에 발주될 예정이다. 이는 최근 5년간 최대 규모다.
구체적으로 공사 부문에선 ▲종합심사낙찰제 4.5조원(48건) ▲간이형종합심사제 1.5조원(80건) ▲적격심사제 1.4조원(473건) 등이, 용역 부문에선 ▲종합심사 6천억원(118건) ▲적격심사 2천억원(211건) 등이 계획돼 있다. 이 안에서 ‘종합심사낙찰제’ 대상 발주가 지난해 대비 약 3조원 증가했다.
공사 공종별 발주계획을 살펴보면, 일자리 창출 등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건축·토목공사’가 전체 발주 금액의 약 67%를 차지한다.
122건 발주 예정인 건축공사에는 4조6천억원, 48건 발주 예정인 토목공사에는 2조1천억원이 잡혔다. 이어 ‘전기·통신·소방공사’ 1.3조 원(272건), ‘조경공사’ 8천억 원(101건), ‘기타공사’ 3천억 원(71건) 등이다. 아울러 용역 부문에서는 설계 등 기술용역이 8천억원(323건), 일반용역은 1천억원(129건)이다.
이한준 LH 사장은 “공사, 용역을 적기에 발주해 도시 건설, 주택공급 등 정책 사업을 차질 없이 이행할 것”이라며 “상반기 발주를 확대하고 선금 지급을 활성화 하는 등 LH가 건설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