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로고
영화관 이용 격차 해소… 경기지역 '작은영화관' 어디어디?
문화 문화일반

영화관 이용 격차 해소… 경기지역 '작은영화관' 어디어디?

image
가평 뮤직빌리지 음악역 1939시네마 전경. 경기일보 DB

 

멀티플렉스 체인점 영화관이 보편화된 요즘, 이런 영화관을 찾기 어려운 지역 주민들을 위한 특별한 영화관이 있다. 문화시설이 부족한 지방 소도시 주민들의 영화관 나들이를 실현케 하는 ‘작은영화관’이다. 

 

영화관이 없는 지역에 작은영화관을 세워 주민들의 문화 격차를 해소하고자 문화체육관광부의 사업으로 추진됐다가 현재 지자체로 건립 사업이 이양됐다. 

 

경인지역에는 총 4곳의 작은영화관이 있다. 가평 1939시네마, 포천클라우드시네마, 인천 강화작은영화관에 이어 지난해 12월 화성 마도문화센터에 작은영화관이 문을 열었다. 

 

image
화성작은영화관 내부 모습. 화성시청 누리집 

 

마도문화센터 3층에 들어선 영화관에선 2D와 3D 입체영화를 상영한다. 75석씩 2개관, 총 150석으로 구성됐으며 일반 영화관에 비해 가격은 절반 수준이다. 2D영화 7천원, 3D영화 9천원 선이다. 인구 100만도시인 화성에 작은 영화관이 들어선 이유는 이렇다. 화성시는 지역에서 운영 중인 영화관 9개소 중 7개소가 동부지역에 있을 만큼 동서 간 격차가 심하다. 이에 화성시에서는 서부와 남부지역 주민들의 문화이용을 높이고자 마도문화센터를 짓고 그 안에 작은 영화관을 만든 것. 현재 영화관에선 ‘다음 소희’, ‘어메이징 모리스’, ‘몬스터 하오스2:인비져블 피닉스’, ‘타이타닉’ , ‘어쩌면 우린 헤어졌는지 모른다’를 상영 중이다. 

 

작은영화관들은 대체로 신작 2~5편가량을 상영한다. 적은 수의 상영관으로 상영하는 만큼 상영 간격도 긴 편이지만 영화 한번 보려고 무조건 타 지역에 가야하던 불편함이 줄어 들어서 현지 주민들의 반응은 좋은 편이다.

 

관객내역서를 공개하는 것도 눈에 띈다. 강화작은영화관은 투명한 운영을 바탕으로 지역과 함께 하는 건강한 문화환경을 조성하고자 영화별 관객수와 일별 관객수를 누리집에 공개하고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