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공공요금 모두 동결…유정복 시장, 고심 끝 결정

인천 남동구 구월동에 있는 인천시청 본관.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각종 택시 등 공공요금 인상에 대한 수위·시기를 놓고 고심(경기일보 14일자 1면)하다 결국 상반기에 모두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그동안 물가 상승 등으로 인한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며 요금 현실화를 요구해온 택시 업계를 비롯해 버스 업계 등의 강한 반발이 불가피 할 전망이다.

 

시는 17일 어려운 경제난과 고물가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민들의 부담을 덜기 위해 시에서 관리하고 있는 공공요금을 올 상반기에는 동결하기로 전격 결정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결정은 서울시의 택시요금 인상에 따른 시민들의 공공요금 인상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유정복 시장이 직접 이 같은 공공요금의 동결을 결정했다.

 

시는 이번 유 시장의 결정을 민생의 한 축으로서 공공요금 안정을 통해 조속한 경제안정과 서민·취약계층의 불안감을 해소하고자 하는 의지로 해석하고 있다. 이 같은 공공요금 동결은 당장 시 재정에 큰 부담이기 때문이다.

 

시는 이 같은 공공요금 동결로 인해 시내버스는 189억원, 도시철도(지하철)는 50억원의 시민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시는 지난달 1일부터 인상했던 하수도 요금도 상반기까지는 감면하기로 했다. 또 하반기로 미뤄진 상수도 요금, 도시가스 요금 등에 대해서 하반기에도 물가안정 및 서민경제 부담이 최소화하도록 할 방침이다. 교통요금도 서울시, 경기도와 협의를 통해 균형을 맞춰가겠다는 계획이다.

 

유 시장은 “시민들의 어려운 경제상황을 덜어주고자 공공요금 상반기 인상 동결을 추진하는 만큼, 관계자 분들의 이해와 동참을 부탁드린다”고 했다. 이어 “앞으로도 공공요금 인상 억제 뿐만 아니라 다양한 민생현안에 신속하고 선제적으로 대응겠다”며 “이를 위한 민생안정특별위원회를 구성해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민생 경제 및 사회의 안전에 대해 종합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한편, 시는 지난달과 이달 초 난방비 폭등으로 인해 취약계층이 생활의 어려움을 겪자 저소득주민, 사회복지시설 뿐 아니라 차상위취약계층에도 난방비 173억원을 긴급 투입했다. 또 서민의 가계부담과 물가안정 분위기 확산을 위해 10개 군·구에 있는 착한가격업소에 1억8천870만원을 추가 지원해 업소에서 필요로 하는 물품 등을 보급할 예정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