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택시·버스업계, ‘공공요금 동결’에 거센 반발

인천의 택시들이 한 도로가에 줄지어 서있다. 경기일보 DB

 

인천시가 각종 공공요금을 상반기까지 모두 동결(경기일보 17일 보도)하자 인천지역 택시·버스업계 등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18일 택시·버스업계 등에 따르면 시가 지난 17일 어려운 경제난과 고물가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민들의 부담을 덜기위한 공공요금 동결 발표에 대해 수용 거부 의사를 내놓고 있다. 인건비와 유류비 등이 상승했는데도 수년간 요금 인상은 전혀 이뤄지지 않아 회사 운영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게 이유다.

 

특히 택시업계는 회사 운영 중단 등을 우려하며 당장 택시 관계 단체들과 집단 행동에 나설 예정이다. 택시 업계는 지난 4년간 요금을 묶인데다 최근 서울시 등은 요금 인상을 통한 요금 현실화에 나섰지만 인천만 동결한 만큼, 동결안 철회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상수 인천법인택시조합 기획실장은 “유류비 등 물가는 올랐지만 택시비는 그대로인 탓에 많은 회사들이 기사에게 월급을 당장 줄 수 없고 대출도 받을 수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이 같은 시의 결정은 회사 운영 자체를 못하게 만드는 최악의 상황”이라며 “다음주에 법인택시조합와 택시노동 단체 등 4개 택시 단체의 공동성명서를 낼 것”이라고 했다.

 

고상욱 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 인천지역본부 사무국장은 “현재 택시부제 해제 등으로 인천에 택시가 많아졌지만 요금은 오르지 않아 기사들의 월급만 계속 줄어들 뿐”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몇 달 간 손님이 줄어도 요금을 현실화해야 택시업계가 살아나는 만큼 시가 당장 공공요금 동결을 철회해야 한다”며 “시를 상대로 곧 1인 시위까지도 할 것”이라고 했다.

 

인천지역에서 운행하는 광역버스의 모습. 경기일보DB

 

여기에 지난 2016년부터 요금이 멈춰있는 광역버스 등 버스업계도 요금 동결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장진수 인강여객 대표는 “시가 이달 요금인상을 약속했다가 다시 말을 바꾼 상황”이라며 “노동조합의 파업 때문이 아니라 회사 자금 상황이 악화해 버스를 멈춰야 할 판”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전반적인 물가가 많이 올라 특정 요금만 인상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교통 요금은 서울시와 경기도 등과 협의해야 해 시간이 걸리는 만큼 하반기에는 요금을 일부 올리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