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안쪽이 유난히 아픈 50대라면...'내반변형' 체크해야

image
무릎. 경기일보DB

50대 가정주부 김모씨는 몇 년 전부터 무릎 안쪽이 유난히 아팠지만 일반적인 통증이라 여기고 대수롭지 않게 지냈다.

 

얼마 후 거울에 비친 다리를 보고 깜짝 놀랐다. 곧게 뻗었던 무릎이 안쪽으로 휘어 보이고 무릎 사이에 간격이 꽤 벌어져 있었던 것이다. 

 

내반변형(내반슬)은 고관절과 발목관절을 이은 직선에서 무릎관절이 중심에서 벗어나 바깥쪽으로 놓이면서 O자형 다리로 휘어진 상태를 말한다. 좌식문화가 발달한 한국인들에게 특히 많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쪼그려 앉는 자세 등 좋지 않은 생활 습관으로 인해 발생한다. 특히 중년 이후 곧았던 다리가 안쪽으로 휘기 시작했다면 퇴행성관절염으로 인한 휜다리 변형의 가능성이 크다.

 

허동범 연세스타병원 병원장은 “퇴행성관절염은 나이가 들어 연골이 손상되고 지우개처럼 닳아 없어지면서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질환”이라며 “곧게 뻗은 다리는 체중이 골고루 분산되지만 O자형으로 휘어진 다리는 체중이 안쪽으로 쏠리기 때문에 관절 안쪽 연골이 더 빠르게 닳게 된다”고 말한다. 특히 연골이 닳는 속도는 과체중이거나 50대 이상 갱년기 여성일수록 더 빠르다. 폐경으로 인한 여성 호르몬의 영향으로 근골격계가 약해지기 때문이다.  

 

내반변형(내반슬)은 직접 체크해 볼 수 있다. 무릎이 보이는 전신 거울 앞에 바로 서서 양쪽 발목을 붙이고 섰을 때 무릎 안쪽의 공간이 5cm 이상 벌어져 있거나 양쪽 무릎 높이가 다르고 한쪽이 유난히 휘어 보인다면 무릎 변형이 진행됐다고 의심할 수 있다. 

 

허동범 원장은 “나이가 들어 스커트와 반바지를 멀리하다 보니 무릎의 변형을 못 알아차리고 지나치기 쉽다. 무릎 안쪽이 유난히 아프거나 발목을 자주 접질리는 것도 내반변형으로 인한 휜다리의 증상일 수 있다”면서 “퇴행성관절염의 가장 효과가 좋은 치료방법은 초기진단, 조기치료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