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 살리기’ 총력... 경기도-31개 시·군, 상반기 35조원 ‘신속 집행’

경기도청 광교 신청사. 경기도 제공

경기도와 도내 31개 시·군이 올해 상반기 35조원 규모의 재정을 ‘신속 집행’하기 위한 총력전에 돌입했다.

 

난방비 폭탄 등으로 민생 경제가 직격탄을 맞은 만큼, 공적 영역에서부터 소비·투자 분야의 확장적 재정 지출로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다는 취지다.

 

20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와 일선 시·군은 올해 본예산 중 예비비, 국고보조금반환금 등을 제외한 총 57조9천975억원 중 60.1%를 오는 6월까지 집행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는 행정안전부 목표인 55.7%보다 4.4% 포인트 높은 수치다.

 

김동연 지사의 역점 사업과 중앙부처 사업 간 연계성을 높이고,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일자리 사업 등의 정책 효과를 최대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다. 재정의 신속한 집행은 곧 속도감 있는 업무 추진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기관별 추진 계획을 보면, 우선 도는 올해 본예산 33조8천억원에서 예비비 등이 제외된 31조9천억원 중 20조3천억원을 상반기에 집행한다. ‘맞춤형 복지제도 시행 경비 등’에 도 본청 17조7천억원과 도 산하 공공기관 2조6천억원 등이 투입된다.

 

도내 시·군은 본청 12조518억원과 산하 공기업 2조4천897억원 등 14조5천415억원 규모를 목표로 한다. 일선 시·군 중 목표액이 가장 큰 곳은 1조871억원인 화성시다. 이어 용인특례시 1조138억원, 성남시 9천755억원 등 순이다.

 

도는 이 같은 천문학적 재원을 전략적으로 집행하기 위해 기획조정실장을 단장으로 둔 ‘신속집행추진단’을 운영한다. 이들은 도와 도내 시·군의 신속 집행 실적을 수시로 점검·관리하고, 시기별로 적절한 재원이 보조되도록 하는 역할을 맡는다. 각 시·군 역시 부단체장을 단장으로 추진단을 구성하게 된다.

 

이와 함께 ‘소비·투자’ 활성화를 통한 대규모 투자 사업 집중 관리에도 나선다. 도 50억원 이상, 시·군 30억원 이상의 투자 사업에 대해선 세부 집행 계획을 통해 집행률을 높이고, 사업별 집행이 부진한 이유를 분석해 문제를 신속히 해결하겠다는 복안이다. 오는 3월까지 지난해보다 3천361억원 증액된 3조9천128억원 규모의 재정이 소비·투자 분야에 투입될 예정이다.

 

도 관계자는 “어려운 경제 상황 속 신속한 예산 집행으로 늑장 행정은 막고, 도민에게 돌아가는 정책 혜택은 극대화하고자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