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청소년재단의 기능 확대가 추진되는 가운데 청소년 뿐만 아니라 청년들을 위한 재단의 다양한 기회 제공이 필요하다는 전문가 의견이 제기됐다.
21일 수원특례시에 따르면 시는 ‘수원시청소년재단’의 명칭을 ‘수원시청소년청년재단’으로 바꾸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한 ‘수원시 청소년재단 설립운영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의 심의를 제373회 수원특례시의회 임시회에서 받고 있다. 명칭과 목적 등의 변경으로 재단의 업무 범위를 청년영역까지 확대해 일자리와 사회 참여, 복지 등 다양한 청년 정책을 발굴하겠다는 것이다. 조례개정안은 오는 28일 제2차 본회의에서 통과 여부가 최종 가려진다.
심의에 앞서 시는 이날 수원유스호스텔에서 ‘수원시청소년청년재단 정책토론회’를 갖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지난달 1일 기준 시 전체 인구(119만1천620명) 중 34%가 청소년·청년(만 9~34세, 40만333명)으로 이는 경기도의 청소년·청년 비율 30%(1천359만6천91명 중 412만1천508명)보다 높다. 수원은 수도권 남부 지역의 거점도시로 첨단산업이 발전한 데다 망포역 등 교통의 발달로 다른 지방자치단체보다 청소년·청년 인구가 많지만 정작 이들을 위한 공간과 프로그램 등 인프라는 미비하다는 진단이다.
더욱이 후기 청소년(만19~24세)과 청년(19~34세)의 생애 단계를 연결하는 정책 필요성 역시 시대적 흐름에 따라 대두한 실정이다.
이 때문에 청소년과 청년들을 위한 다양한 원스톱 서비스가 진행돼야 할뿐더러 청년 문제가 청소년 시기부터 시작되는 만큼 생애주기, 발달단계 등 통합적인 관점으로 이를 미리 대비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서복경 ㈜더가능연구소 대표는 “기후 재난 일상화, 고령화 시대 등은 기존 기성세대가 경험하지 못한 것으로 청년들 입장에선 현실에 닥쳐온 문제다. 따라서 그동안 경험하지 못한 시대를 맞이한 청년들에게 우리 사회가 더 적극적으로 투자해야 한다”며 “일례 이들이 활발한 네트워크 활동을 하는 공간 등 구조를 만들어야 하고 벤처기업 투자처럼 청년들의 실패를 감안한 채 새로운 시대의 발판을 마련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 관계자는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청소년 뿐만 아니라 청년들을 위한 재단 출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