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K-UAM 실증 본격화… 공항공사·국토부‧항공우주연구원‧대한항공 협약

22일 서울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김경욱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 어명소 국토교통부 2차관, 이상률 항공우주연구원장 및 우기홍 대한항공 사장 등이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그랜드챌린지 1단계 실증사업 참가 협약을 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공항공사 제공

 

인천국제공항공사가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실증 사업을 본격화한다.

 

공항공사는 22일 서울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국토교통부, 항공우주연구원, 대한항공 등과 K-UAM 그랜드챌린지 1단계 실증사업 참가 협약을 했다.

 

이에 따라 공항공사와 대한항공은 내년 1월부터 컨소시엄을 구성해 그랜드챌린지 1단계 실증에 돌입한다. 공항공사는 교통관리 및 버티포트(UAM 터미널) 분야를 맡고, 대한항공은 운항자 분야를 담당한다.

 

현재 국토부는 2025년 UAM 상용화를 목표로 K-UAM 그랜드챌린지 실증사업을 추진, UAM 기체 안전성 확인 및 통합 운용성 실증 등 한국형 UAM 운용기준을 마련하려 하고 있다. 국토부는 1단계는 전남 고흥 국가종합비행성능시험장에서, 2단계는 준도심‧도심환경(수도권)에서 한다.

 

공항공사는 이번 실증사업 참여를 통해 UAM 교통관리체계 및 버티포트 운용 관련 기반 기술을 검증함으로써 국가정책사업인 K-UAM의 성공적 도입 및 생태계 조성에 기여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김경욱 공항공사 사장은 “이번 실증사업을 바탕으로 인천공항 버티포트 구현 등 UAM 인프라 구축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이라고 했다. 이어 “차세대 항공모빌리티 혁신을 통해 인천공항 미래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글로벌 항공경쟁에서 우위를 선점 해 나가겠다”고 했다.

 

한편, 공항공사는 지난 2021년 11월 현대자동차, KT, 대한항공 및 현대건설과 UAM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한 뒤, 국토부 UAM 연구개발(R&D) 과제 수행, 미래항공모빌리티 운용개념서 1.0 발간 등 UAM 상용화에 대비하고 인천공항 미래경쟁력 확보를 위해 애쓰고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