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바다가 매년 급속도로 늘어나는 ‘해양쓰레기’를 감당하지 못해 몸살을 앓고 있다.
해양쓰레기의 수거 및 처리를 지원하는 조례가 제정된 지 4년이 지났지만, 전용 처리 장비와 중·장기적 종합 계획 등이 부재해 해양 오염을 막을 경기도 차원의 정책 논의가 요구된다.
27일 경기도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도가 수거한 해양쓰레기는 2020년 1천505t, 2021년 1천679t, 지난해 2천20t으로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동안 도는 154t급 선박 ‘경기청정호’ 1대와 상시 수거 인력인 ‘바다환경 지킴이’ 37명 등을 통해 해양쓰레기를 수거해왔다.
하지만 늘어가는 수거량에도 이를 처리하는 전용 시설은 도내에 단 1곳도 없다. 해양쓰레기는 염분이 많아 일반 소각이 어려운 데다가, 수도권 매립지 종료가 채 3년도 남지 않았지만 뚜렷한 대책이 없는 셈이다. 이는 소각로와 감용기 각각 9개를 보유한 인천광역시와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해양쓰레기를 소각하기 전 재활용할 수 있는 제품을 선별하는 전처리시설도 전무하다. 현재 도는 밧줄, 타이어, 폐그물 등의 해양쓰레기를 전적으로 수거 업체에 맡겨 구분 없이 소각하고 있다. 반면 강원도 동해시는 전처리시설을 통해 폐기물 매립량의 절반가량을 줄였다며 적극적인 환경 보존 의지를 보이기도 했다.
상황이 이런데도 도는 해양쓰레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의지를 보이고 있지 않다. 도는 지난 2019년 ‘경기도 해양쓰레기 수거 및 처리 지원 조례’ 제정을 통해 해안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한 종합 계획의 수립을 명시했다. 하지만 4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이를 관리할 중·장기적 계획을 마련하지 않았다.
도 관계자는 “다음 달 중에 해양쓰레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5개년 종합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라며 “해양쓰레기 유입을 차단하고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