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기 미세플라스틱 검출량이 다회용기보다 최대 4.5배 더 많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소비자원은 시중에 유통 중인 일회용기 16종과 다회용기 4종 등 20개 제품의 미세플라스틱 검출량 및 인체 노출 가능 정도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일반적으로 미세플라스틱은 5㎜ 미만의 플라스틱 조각을 말한다. 현재까지 과학적으로 미세플라스틱의 위해성 여부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플라스틱에 제조 시 들어가는 화합물은 심뇌혈관계, 내분비계 등 신체에 독성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들이 나오고 있다.
조사 결과, 일회용기의 경우 종류별로 용기 1개당 1.0~29.7개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 반면, 다회용기는 0.7~2.3개가 나왔다. 유사한 용도의 용기끼리 비교했을 때 다회용기보다 일회용기가 적게는 2.9배, 많게는 4.5배까지 더 많았다.
조사 대상 제품에서 검출된 미세플라스틱은 플라스틱컵과 포장용기 주 원재료인 폴리에틸린테레프탈레이트(PET·47.5%)와 폴리프로필렌(PP·27.9%)이 가장 많았다. 이어 종이컵에 코팅되는 폴리에틸렌(PE·10.2%) 순이었다.
시험 대상 전 제품 모두 주 원재료 외 다른 재질의 플라스틱도 검출됐다. 소비자원은 이에 대해 제조, 포장, 유통 시 외부에서 혼입된 것으로 추정했다.
소비자원은 우리나라 성인 1인당 연간 커피 소비량이 377잔으로 추산하고 모두 일회용 컵에 마신다고 가정할 경우, 개인별로 노출될 수 있는 미세플라스틱 양은 연간 2천639여개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소비자가 1주에 약 1.9회 가량 배달음식을 주문한다고 가정할 경우, 연간 미세플라스틱 노출량은 훨씬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또 소비자원은 국·탕류를 주문해 탕 용기 1개, 밥(죽) 용기 1개, 반찬(소스) 용기 2개가 배달될 경우, 이때 이들 용기에서 검출될 수 있는 미세플라스틱은 39개 정도로 추산했다.
소비자원은 현재까지 과학적으로 미세플라스틱 위해성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선제적인 안전관리와 탄소중립·자원재활용 등 환경적 측면에서라도 플라스틱 일회용기 사용을 줄이는 방식의 소비형태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배달, 포장 시 다회용기를 사용하면 미세플라스틱 섭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며 "관련 부처에 이번 조사 결과를 알려 일회용기의 미세플라스틱 관리방안 마련을 건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