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EZ 기반시설 유지 등 年 지출 1조... 2025년까지 매년 4천억↑ 적자 예상 외국인직접투자 좀처럼 늘지 않고... 토지 매각 등 대체 수입원 못 찾아 “벤처 창업인프라 조성, FDI 높여야”... 경제청 “추가 첨단산업 유치 등 최선”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오는 2025년까지 극심한 재정 보릿고개를 겪을 전망이다. 송도·영종·청라 등 인천경제자유구역(IFEZ)의 각종 기반시설 유지 등을 위해 해마다 1조원씩 필요하지만, 수익의 대부분인 토지매각대금이 크게 줄어든 탓이다.
1일 인천경제청에 따르면 IFEZ의 올해부터 오는 2030년까지 각종 사업 및 시설 유지 등을 위한 지출액은 약 9조6천억원에 달한다. 이 중 오는 2023~2025년의 지출은 해마다 1조원이 넘는다. 이후 2023년 1조851억원, 2024년과 2025년은 각각 1조4천억원 등이다. 이후 2026~2030년 지출액은 최소 6천억원이다.
다만 인천경제청은 송도 트램사업과 송도 6·8공구 개발사업과 청라시티타워 운영 및 복합시설 개발 등이 이뤄지면 지출 총액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우려가 크다.
그러나 인천경제청이 예측한 올해부터 2025년까지의 수입은 연간 6천억~1조원에 불과하면서 IFEZ 재정에 빨간불이 들어왔다. 인천경제청은 2023~2025년의 수입은 2조7천727억원에 불과한 반면, 지출은 약 4조원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해마다 4천억원 이상 적자를 보는 셈이다.
여기에 아트센터 인천과 송도컨벤시아 등 인천경제청의 지속적 수입원들의 적자 운영도 이 같은 IFEZ의 재정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
이런데도 인천경제청은 IFEZ의 외국인직접투자(FDI)가 좀처럼 늘어나지 않으면서 토지 매각 등을 대체할 수입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인천경제청이 지난 10년간 벌어들인 9조7천754억원 중 87%가 토지매각에 따른 수입이다.
특히 인천경제청이 이 같은 적자 운영으로 인해 2025년까지 IFEZ의 기반시설 운영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현재 IFEZ의 기반시설 운영 등 지속적 지출은 전체 지출액의 51%를 차지한다. 지속적지출이란 IFEZ의 송도컨벤시아, 아트센터 인천, 공원, 도로, 하수처리시설 등 등 기반시설과 공공문화시설물을 운영하는 데 쓰이는 것이다.
인천경제청은 IFEZ의 추가 토지인 11공구 매립이 이뤄진 2026년 이후에서야 분양 등을 통한 토지매각수입원을 확보했을 때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 때문에 인천경제청이 IFEZ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려면 토지매각 수입에서 탈피, 첨단산업 유치 및 벤처기업의 창업 인프라 조성을 통한 FDI 실적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기반시설 운영을 기초 지자체에 이관하면서 지출의 규모를 줄일 예정”이라며 “수입원도 송도 11공구 매립과 IFEZ 추가 지정을 통해 해결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추가적인 첨단산업 유치 등을 통한 수입원 확보에 나서겠다”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