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부 91%·남부 83% 동의 “성장기회와 잠재력 높아”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필요성에 도민 10명 중 8명이 공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북부도민의 91%, 남부도민의 83%가 동의한다고 응답했다.
경기도는 2일 경기도청 북부청사에서 ‘경기북부특별자치도 미래상과 과제 도민설명회’를 통해 공론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공론조사는 ㈜한국리서치·갈등해결&평화센터 컨소시엄이 경기도에 1년 이상 거주한 만 18세 이상 도민 348명을 대상으로 성별·연령·권역(경기북부와 남부 동수로 구성) 등을 고려해 도민참여단을 모집한 뒤 총 3차례 진행했다.
조사 결과를 보면,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필요 이유로 ▲성장기회와 잠재력이 높아서(1차 78%→ 3차 88%) ▲경기남부와 북부는 생활․경제권이 달라 행정효율성과 자율성을 높일 수 있어서(1차 77%→ 3차 87%) ▲수도권 과밀화를 해소할 수 있어서(1차 78%→ 3차 86%) 등을 꼽았다.
반면, 설치 불필요 이유에 대해 ▲특례시·군으로 지정이 됐거나 추진하고 있는 시군에서 설치에 적극적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1차 41%→ 3차 40%) ▲도청·도교육청·도의회 등의 시설 설치와 운영·인건비가 증가할 것이기 때문에(1차 42%→ 3차 36%) ▲중첩규제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1차 39%→ 3차 31%) 등으로 조사됐다.
경기북부특별자치도 미래상과 비전에 대한 적합성에는 ▲경기북부의 발전잠재력을 현실화한 대한민국의 신성장엔진으로서의 경기북부특별자치도(1차 68%→ 3차 85%) ▲수도권내 상생발전과 수도권 지방균형발전 모델로서의 경기북부특별자치도(1차 73%→ 3차 84%) ▲국제자유평화도시로서 남북통합의 실험장이자 중추거점으로의 경기북부특별자치도(1차 61%→ 3차 72%) 순이다.
이같은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필요성’에 대한 조사결과 변화를 보면 1차 조사 당시 64% 수준이었던 ‘설치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3차 조사에서 87%까지 높아졌다. 특히 남부도민의 경우 1차 조사 57%에서 3차 조사 83%로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가 필요하다는 동의비율이 26%p 상승하면서 큰 의견 변화를 보였다. 북부도민도 1차 71%에서 3차 91%까지 높아졌다.
이날 설명회에서는 ‘경기북부특별자치도 기본계획 및 비전·발전전략 용역’ 착수보고회도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이정훈 박사(경기연구원)는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의 필요성과 논거 ▲특별자치도 설치의 법적근거와 법률 제정 방향 ▲특별자치도 설치 기본계획 주요내용 ▲비전과 전략 ▲경기북부/남부 및 비수도권 상생발전 등을 중점으로 용역 착수계획을 발표했다.
경기도는 정책연구용역을 지난달 착수, 내년 2월에 마무리할 예정이다. 또 도민 공감대 형성을 위해 권역별 공청회와 토론회를 개최하고 공론화위원회를 구성하고 운영할 계획이다.
한편 이날 도민설명회에는 경기도의원 12명, 민관합동추진위원, 숙의공론조사 도민참여단 및 연구자문위원, 도·시군 공무원 등 200여명이 참여,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에 대한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오후석 경기도 행정2부지사는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는 국회, 중앙부처, 비수도권지역 등의 이해와 협조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며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논리적 다툼이 아닌 대한민국 발전을 위한 필수 조건으로 도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도 당부한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