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그라들던 ‘NO재팬’ 재확산?… 경기도내 수입기업 ‘전전긍긍’

한국 주도 ‘제3자 변제’ 공식화하자 반일감정 ‘부글부글’
日 제품 불매운동 확산 조짐… 도내 수입업체 ‘조마조마’

지난 2019년 7월30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서대문형무소역사관에서 서울 서대문구 등 전국 52개 지방정부로 구성된 '일본 수출규제 공동대응 지방정부 연합'이 개최한 일본 수출규제 조치 규탄대회에서 참가자들이 '보이콧 재팬'이 적힌 피켓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금 문제의 해법을 공식화한 가운데 반일 감정이 다시 확산될 조짐을 보이면서 관련 기업들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4년 전 ‘NO재팬’ 운동으로 큰 피해를 입었던 기업들은 다시 한 번 같은 상황이 재연될까 전전긍긍하는 모습이다.

 

7일 외교부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6일 한국 주도의 ‘제3자 변제’를 골자로 한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금 문제 해법을 공식화했다.

 

행정안전부 산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 대법원 확정 판결 원고들에게 판결금 및 지연이자를 지급하는 등의 내용인데, 재원은 민간 기업들의 자발적 기여 등을 통해 마련할 방침이다. 포스코를 비롯해 16개가량의 국내 청구권 자금 수혜기업의 자발적 기부로 우선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박진 외교부 장관이 6일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2018년 대법원의 배상 확정판결을 받은 국내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행정안전부 산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 조성한 재원으로 판결금을 대신 변제하는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에 정부가 섣불리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배상금 문제를 덮어버리려 한다는 비판이 거세다. 지난 2019년 일본이 반도체 소재 등의 한국 수출 규제 조치를 한 이후, 국내에서 ‘NO재팬’ 운동이 전개된 것처럼 다시 반일 감정이 타오를 조짐을 보이고 있다.

 

당시 중소기업중앙회가 일본 제품을 수입하는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실태조사 결과, 수출 규제에 따른 부정적 영향의 최다 사례로 ‘일본 제품 불매운동’(24.7%)이 꼽히기도 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경기도내 수입기업들 역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경기남부지역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경기도의 대(對)일본 수입액은 172억7천300만달러로 중국(549억1천700만달러)과 미국(236억4천200만달러)에 이어 단일 국가로는 3위를 차지할 정도로, 수입에서 일본 비중은 적지 않다.

 

실제로, 일본에서 주류 등 가공식품을 수입하는 도내 A업체도 현 상황을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4년 전 이 기업은 일본산 제품들을 판다는 이유로 매출이 20% 줄어드는 등 타격을 입었기 때문이다. A업체 관계자는 “반일 감정이 아직까진 피부에 와닿지는 상황은 아니지만, 기업을 운영하는 입장에선 충분히 긴장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는 “물론 국내에서 반일 감정이 본격화되는 등의 상황은 당장 예측하긴 힘들다”면서도 “4년 전처럼 ‘NO재팬’ 운동이 다시 확산될 경우 수입기업들의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은 언제든지 존재한다”고 진단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