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대북 친서 전문 입수·분석, “남북교류기금 대폭 늘렸다”

image
이재명 대표. 연합뉴스

이재명 전 경기도지사 당시 작성된 대북 친서에 ‘경기도 남북교류기금을 대폭 늘렸다’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7일 채널A 보도에 따르면 지난 2019년 5월 이재명 전 경기도지사가 발신인, 김영철 북한 조선아시태평양위원회 위원장이 수신인인 대북 친서 초안이 작성됐는데, 친서 초안에는 “국제 대회를 성공적으로 치른 점에 감사하다”는 내용과 경기도의 ‘남북교류협력기금’을 대폭 증액했다는 내용이 강조됐다.

 

또 도가 평화부지사와 평화협력국 등을 신설한 사실과 함께 북한 측과 “더 큰 규모의 협력 사업 준비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다”며 “경기도지사를 대표로 하는 대표단을 초청해달라”는 내용이 포함됐다.

 

실제 도는 지난 2018년 이재명 지사 취임 뒤 140억원에 불과하던 남북교류협력기금을 매년 늘려왔다. 지난 2019년 8월 기준 도의 남북교류협력기금 누적액은 379억원으로 전해졌는데, 같은 시기 강원도 누적액의 두배가 넘는다.

 

이후 수정과정을 거친 대북 서신에는 김영철 조선아시아태평양위원회 위원장의 호칭이 눈에 띈다. 초안에는 없었던 ‘선생님’이라는 호칭이 수정본에는 김 위원장의 직함 뒤에 붙어있기 때문이다. 김 위원장은 북한 통일전선부장으로, ‘천안함 폭침’ 사건의 주역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해당 호칭을 담아 서신을 수정한 건 구속 기소된 안부수 아태평화교류협회장으로 전해진다. 도지사의 이름으로 보내는 서신 수정을 경기도 공직자도 아닌 민간 대북교류단체장이 맡은 이유가 의문인데, 안 회장은 관련 서신(최종본)을 북측에 전달한 인물로 알려졌다.

 

친서 수정본에는 이재명 전 지사의 구체적인 방북 추진 시점도 적혀있다. “경기도 대표단을 ‘6월 중’ 편리한 시기에 북측으로 초청해달라”는 내용이다.

 

이 서신 최종본에서 이 지사의 북한 방문 초청 요청은 남북공동 기념 행사 개최 제안으로 대체됐다. “4·27 판문점 선언의 감동을 더 큰 감동으로 만들고자 한다”며 “남북이 하나라는 것을 전 세계에 선포하자”는 것이다.

 

최종본의 발신인인 이재명 당시 도지사 직함 옆에는 이화영 당시 도 평화부지사의 이름으로 서명이 돼 있다. 검찰은 발신인인 이재명 지사의 승인이 있었을 걸로 의심하고 있다.

 

또 검찰은 대북 서신에는 남북 공동행사 개최 제안이 담겼지만 안부수 회장이 이 지사에 대한 ‘방북 요청’을 북측 고위급에 구두로 전달됐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