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 기자회견 “국민 상처 보듬는 정부 희망" "줄잇는 압수수색 도정 마비”... ‘국가민생경제회의’ 등 제안
수도권 유일의 야당 광역단체장인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연일 정부 정책에 날을 세우고 있다.
민생정책을 축소하거나 폐지 중인 정부에 경제 위기로 벼랑 끝에 내몰린 민생을 위해 ‘정책 대전환’이 시급하다며 여·야·정 협조를 재차 강조했다.
김 지사는 9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생회복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맙시다’라는 제목의 호소문을 낭독했다. “절박한 심정으로 자리에 섰다”고 운을 뗀 그는 ‘민생복원’과 ‘정책복원’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이어 자녀의 학교폭력 문제로 낙마한 정순신 전 국가수사본부장 사태를 언급하며 “검주국가, 권치경제를 탈피해야 한다. 언제까지 검찰수사가 뉴스 1면을 장식하는 세상에 살아야 하는가. 도만 해도 민선 8기 출범 이후 열세 차례의 압수수색을 받느라 민생을 위한 도정이 마비될 지경”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권력기관에 기댄 국정운영을 중단해야 한다. 휘두르는 칼을 내려놓고 국민의 상처를 보듬어야 한다”며 “대통령은 이제 검사가 아닌 ‘대통령의 길’을 가야 한다”고 목청을 높였다.
이날 김 지사는 여·야·정을 비롯한 모든 경제주체가 참여하는 ‘국가민생경제회의’를 제안하기도 했다. 사회적 합의 없는 독단적인 경제·노동·교육 개혁에 머물면 정책 대전환은 성공하지 못한다는 이유에서다. 정부와 정치권의 일방적인 국정운영과 사생결단식 여야 관계를 청산해야만 제대로된 민생복원이 가능하다는 게 김 지사의 생각이다.
이와 함께 지역화폐를 비롯한 국공립 어린이집, 공공 노인 일자리 예산을 줄인 정부와 차별화된 도정을 실현하겠다는 의지도 표현했다.
김 지사는 “행정안전부가 우리에게 주기로 했던 국비 기준으로 하면 지난해 발행분의 약 3분의 1가량밖에 발행을 못한다”며 “양극화와 소득 불균형의 핵심은 노인 빈곤이라고 생각한다. 이들을 위한 민생 복원에 노력하고, 이와 같은 기조를 계속할 것”이라고 전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