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권, 부천시가 광역화 철회... 자체발생 쓰레기만 단독 조성 市, 부평·계양구와 TF 꾸리고 회의했지만 구체적 계획 없어... 나머지 3곳도 건립 ‘지지부진’ 市 “환경부 1년 유예기간 받고... 2026년 이내 소각장 준공 목표”
인천시가 4곳의 권역별로 추진하던 광역 자원순환센터(소각장) 신설 계획에 빨간불이 들어왔다.
12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오는 2026년 생활폐기물의 매립지 직매립 금지에 대비한 동부권(부평·계양)·서부권(중·동)·남부권(미추홀·연수·남동)·북부권(서구·강화) 등 4개 권역의 광역 소각장 건립이 지지부진하다.
동부권 소각장은 최근 부천시가 당초 대장동 소각장을 자체 발생 쓰레기만 처리하는 단독시설로 조성하기로 하고, 인천과 함께 사용하려던 광역소각장 신설 계획을 백지화했다.
이에 따라 시의 동부권 소각장 신설이 초비상이다. 시는 서둘러 부평·계양구와 3자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2차례 회의를 했지만, 구체적인 계획조차 못잡고 있다. 아직 어느 지역에 소각장을 지을 것인지 부터, 누가 입지선정위원회를 구성할지, 행정절차는 어떻게 밟을지 등 아무것도 정하지 못했다.
부평구와 계양구는 서로 소각장이 들어설 위치를 떠넘기고 있다. 소각장 건설은 주민들의 큰 반대가 불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앞서 지난 2020년 인천시가 계양구의 제3기 신도시인 계양테크노밸리(TV)에 소각장 계획을 포함했다가, 주민 반발로 백지화하기도 했다.
현재 시는 부평·계양구의 새로 조성하는 택지 등 지역 경계선 외각에 소각장을 짓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만, 부평·계양구는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한 구 관계자는 “그동안 시가 동부권 광역 소각장 사업을 추진했는데, 갑자기 구에 떠넘기고 있다”며 “아직 내부적으로 아무런 입장도 정리하지 못한 상황”이라고 했다.
시는 2026년 직매립 금지로 2025년 12월31일까지 소각장을 지어 운영해야 하는 만큼, 최소한 내년까진 입지선정과 주민의견수렴, 용도변경 등 행정절차를 끝내야 한다. 시 관계자는 “동부권 소각장 문제가 현재 가장 발등에 불인 것은 맞다”며 “자칫 2026년 쓰레기 대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대한 일정을 당길 것”이라고 했다.
이와 함께 나머지 3개 권역 광역 소각장 신설도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서부권 소각장은 입지선정위는 꾸렸지만 1년 넘게 입지 선정을 못하고 있다. 북부권 소각장은 아예 입지선정위 조차 꾸리지 못하고 있다. 만약 소각장 신설을 추진하지 못하면 일정상 현재 운영 중인 청라 소각장의 증설이 불가피하다. 하지만 이마저도 인근 주민들은 반대하며 아예 소각장 폐쇄를 요구하고 있다.
남부권 소각장은 현재 운영 중인 송도 소각장 증설을 사실상 결정했지만, 여전히 송도국제도시의 주민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시와 관련 지자체 내부에선 아예 제3의 방안, 즉 다른 곳에 신설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시 관계자는 “동부권 소각장은 다음주 3번째 TF 회의를 통해 우선 전담 지자체를 결정하고, 추진 계획은 세우려 한다”고 했다. 이어 “환경부로부터 1년의 유예기간을 받은 뒤 행정절차를 최대한 앞당겨 2026년 이내에 이들 소각장을 준공하는게 목표”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