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미래지향 한일관계 위해 각 부처 분야별 협력사업 추진"

윤 대통령,한덕수 국무총리와 주례회동
징용 피해자 '제3자 변제' 해법 거부엔 "정상회담 전후로 소통 계속"

image
이도운 대통령실 대변인이 1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한덕수 국무총리와 정례회동에서 "미래 지향적인 한일관계를 위해 정부 각 부처가 분야별 협력 사업을 발굴해서 추진해달라"고 지시했다고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미래 지향적인 한일관계를 위해 정부 각 부처가 분야별 협력 사업을 발굴해 추진해달라고 지시했다.

 

윤 대통령은 13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한덕수 국무총리와 주례회동을 하면서 한일 협력과 관련해 보고를 받고 이같이 말했다고 이도운 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한 총리는 이에 "새로운 한일관계로의 발전을 위해 분야별 교류 협력 사업을 발굴하고 구체화하는 작업을 하겠다"고 윤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이 대변인은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이 14일 한일정상회담 관련 사전 브리핑을 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련 가운데,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한일 정부가 일본 피고기업의 미래청년기금 참여를 사실상 합의했다는 취지의 보도에 대해 "그런 방향으로 협의가 진행 중"이라며 "그런 결과가 나오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한일관계의 지향점을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한 협력 관계'를 전제로 하되, 일제강점기 강제동원을 비롯한 '과거사 문제'도 여전히 논의 테이블에 올려두고 해법을 강구하고 있다는 것이 대통령실의 일관된 설명이다.

 

이 관계자는 그러면서 "과거의 문은 그대로 두고 그 문제 해결을 노력하지만, 미래의 문도 열어두고 향후 한일관계가 새롭게 발전하는 방향도 함께 논의하겠다는 것"이라며 "오늘 시점에서 보면 과거의 문이 더 커 보일 수 있지만, 한일 간 협력이 강화하면 언젠가 미래의 문이 더 커질 수 있고, 그런 방향으로 나아가기를 지금 한국 국민도, 일본 국민도 바라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이 '강제동원' 자체를 부정하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과 관련해 "기시다 총리가 '김대중-오부치 선언'을 포함한 과거 역사 인식을 계승한다고 분명히 얘기했다"며 "그 얘기가 한일 정상회담에서 다시 확인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법원으로부터 강제동원 피해배상 확정판결을 받은 생존자 3명이 정부가 발표한 '제3자 방식'의 피해배상 해법을 공식 거부한 것에 대해서는" 외교부 포함해서 정부가 지속적이고 적극성을 갖고 진심으로 소통하는 과정"이라며 "한일 정상회담 이전에도, 끝난 뒤에도 그런 소통의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