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에 입학 후 정규 교육과정을 마치기 전에 퇴학, 자퇴, 미취학한 청소년.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이 정하고 있는 청소년이다. 자료에 따라 다르지만 50만~60만명 된다. 학교를 그만둬 집 안에서 그늘진 생활을 할 거라 여기지만 각자 다르다. 자유롭게 검정고시를 준비하거나 아르바이트도 한다. 대안학교, 홈스쿨링, 자유여행 등 다양한 모습이다. 그런데 인천의 학교 밖 청소년 대부분은 지역사회로부터 아무런 지원도 못받고 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어린 나이에 자기주도학습에도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이다.
인천지역 학교 밖 청소년은 4천300여명으로 파악한다. 인천여성가족재단이 학업 중단 청소년들 중 다시 학교로 돌아간 수를 빼는 코호트 방식으로 추정했다. 이들 청소년은 학교 안 청소년들에게 주어지는 교육지원 혜택에서 소외돼 있다. 방과 후 활동이나 취업 특강 등 학교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들이다. 이들은 자신의 진로를 개척하기 위해 꿈드림센터로 가거나 먼 거리의 학원 등을 다녀야 한다. 하지만 이들 청소년들에게는 교통비 부담도 버겁다. 지난해 여성가족부의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는 가장 필요한 지원으로 교통비를 꼽았다.
한 청소년의 사례를 들여다보자(경기일보 13일자 1면). 인천 미추홀구의 한 학교 밖 청소년은 지난해 학교를 자퇴했다. 정서적·육체적 학대를 그치지 않는 부모를 피해 집과 학교를 나온 것이다. 그런 가운데서도 장래 영상편집자가 되겠다는 꿈을 키우고 있다. 학교를 그만둔 거지 배움까지 포기한 건 아니어서다. 그래서 학교 밖 청소년에게 학원비를 지원해 주는 서울의 한 영상편집 학원을 다닌다. 그러나 매일 서울을 오가느라 5만원이 넘는 교통비가 큰 부담이다. 자기 같은 청소년들에게 교통비를 지원해 주는 동네로 이사를 가야 하나 생각 중이다.
인천에서는 유일하게 부평구가 학교 밖 청소년에게 5만~10만원의 교통비를 지원하고 있다. 꿈드림센터 프로그램에 4차례 이상 참여하면 받을 수 있다. 학교를 관뒀으니 배움도 포기했을 것으로 보면 편견이다. 학교 밖 청소년들도 자신의 꿈을 펼치고 진로를 찾아갈 수 있도록 지역사회가 지원하는 것이 맞다. 꼭 인천시나 군·구에서만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지원을 맡아야 하는 것도 아니다. 학교 안 청소년들에 대해서는 개인별 노트북까지 지원해 주는 교육복지 시대다. 내국세의 20%를 넘겨 주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이 있다. 일부 교육청에서는 이 돈을 다 못 써 쌓아 두기까지 한다. 인천시교육청은 학교 안뿐 아니라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지원에도 기꺼이 나서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