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시내버스 준공영제가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선 도와 시·군간 재정 분담률을 조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도와 경기도의회는 15일 도의회 대회의실에서 ‘경기도 시내버스 준공영제가 나아갈 방향’을 주제로 한 토론회를 열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좌장인 이기형 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김포4)과 주제발표자인 박준식 한국교통연구원 광역교통정책연구센터장을 비롯해 토론자로 나선 허원 도의회 건교위 부위원장(국민의힘·이천2)과 김동영 도의원(민주당·남양주4), 이기천 도 버스노동조합협의회 의장과 박승삼 도 교통국장, 김채만 경기연구원 물류연구실 실장 등이 참석했다.
토론회에서 이기천 의장은 “대중교통의 안정적인 운행과 버스 노동자의 노동 환경 개선을 위해서라도 준공영제가 필요하다. 하지만 버스 재정 분담률이 경기도는 30%, 시·군은 70%로 불균형을 보이는 탓에 재정이 열악한 시·군의 준공영제 불참이 우려된다”며 “재정 분담률을 형평성 있게 조정해 시·군의 참여를 유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준공영제의 효율적인 추진과 합리적인 유지 및 관리를 위해 관련 전문가를 대거 채용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김채만 실장은 “일반직 공무원은 순환 보직이기에 버스 운영체계를 일관성 있게 추진하고 유지하는 데 한계를 갖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시 등 다른 지자체에선 교통 전문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며 “도 역시 팀장급 이상 직급의 전문가를 채용한다면 준공영제가 안착하는데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목청을 높였다.
좌장을 맡은 이기형 부위원장은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제대로 운영한다면 도민의 교통 복지가 크게 늘어날 것”이라며 “이날 나온 의견을 토대로 향후 도의회는 시내버스 준공영제의 성공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개회식이 열린 정책토론대축제는 주요 정책과 지역 현안을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오는 12월22일까지 총 100회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