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소비 감소와 생산 과잉이라는 겹악재를 만난 ‘경기미(米)’가 지원 사업의 연속성 결여로 위기에 처했다.
우수한 품질의 경기미가 도민에게 사랑받는 대표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꾸준한 성과를 이끌어낼 행정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쏟아진다.
15일 도와 도의회 등에 따르면 도가 시행하는 경기미 관련 세부 사업 16개 중 ‘3년 이상 지속 사업’은 쌀 전업농 육성, 경기미 우수단지 농기계 공급, 벼 우수품종 공급 지원 등 3개(18%)에 불과하다. 사업의 효과가 나타나는 기간을 고려하지 않은 단기성 사업이 대부분이다 보니 생산·수급량을 조절할 중·장기적 대책이 미흡한 실정이다.
사업 내용도 시설 지원에 편중돼 정부 사업과의 차별성이 부재한 상황이다. 특히 고가의 경기미가 타 시·도 브랜드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려면, 기존 정책에서 한 발 나아간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실제 도와 정부는 모두 농기계 및 미곡종합처리장(RPC)을 지원하는 기존 정책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도는 지난해 우수단지 농기계 공급, 벼 건조저장시설, 생산시설 현대화 등에 총 33억2천300만원을 투입했다. 이는 경기미 관련 총사업비 34억5천800만원의 96%에 달하는 수치다.
상황이 이렇자 전문가들은 쌀 소비가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상황에서 경기미의 소비 활성화를 견인할 도 차원의 중·장기 로드맵이 수립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임정빈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는 “경기미 경쟁력을 제고할 도 차원의 다각적인 정책 발굴이 필요하다. 특히 경기미의 경우 ‘품질’에 대한 우수성을 설명하고, 이 같은 강점으로 꾸준한 소비를 유인할 장기적인 정책 지원이 요구된다”며 “전체적인 쌀 소비량이 감소되는 상황에서 도는 다양한 지원 사업에 대한 선택과 집중으로 사업 효과 극대화를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도 관계자는 “우수한 품질의 경기미 소비를 활성화 시키기 위한 대책을 논의할 것”이라며 “지속적인 사업 지원을 위해서는 현재 시행되는 세부 사업들을 면밀히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