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公, 노선 수요 회복 총력...한·중 카페리 운항재개 준비 IPA는 관광 상품 개발 계획
인천지역의 관광 산업이 기지개를 켜고 있다. 중국이 코로나19 기간 중단한 외국인에 대한 관광 비자 발급을 재개했기 때문이다.
주한중국대사관은 15일 코로나19로 약 3년간 중단했던 외국인 관광비자 발급을 재개했다. 또 하이난 무비자 입국, 상하이 크루즈 무비자 입국 등 무비자 입국 정책의 효력을 되살리기로 했다.
중국이 2020년 코로나19 확산 초기부터 올해 초까지 사업과 관련해서만 외국인의 중국 방문 비자를 발급했으나, 최근 관광과 관련한 빗장을 풀고 있는 것이다. 이는 중국이 최우선 국정 과제인 경제 회복을 위해 관광 산업을 다시 부흥시키려는 조치로 해석할 수 있다.
인천지역 여행 업계 등은 양국 간 관광 교류가 다시 활발해지면서 관광 산업이 코로나19 이전으로 회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천의 관광산업은 중국 비중이 높아 그동안 중국과의 교류 중단으로 큰 어려움을 겪어 왔다.
앞서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전 2019년 인천국제공항 이용객 7천117만명 중 중국노선 이용객은 1천358만명에 달했다. 중국노선 이용객은 전체 노선 중 19%를 차지, 동남아시아(30%)에 이어 2번째로 비중이 크다. 그러나 지난해 중국노선 이용객은 42만명으로 코로나19 이전보다 97% 급감했다.
한·중 카페리가 다니는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은 아예 완전히 멈춰서기도 했다. 인천에서 옌타이·텐진 등 중국 10개 항로를 운항하는 카페리의 여객 수는 2020년부터 현재까지 ‘0’명이다.
공항공사는 중국노선을 회복시키기 위해 다양한 마케팅을 계획 중이다. 현재 최근 한·중 양국은 주 60회 정도의 양국 간 항공노선을 이달 말까지 주 200회 이상으로 늘리기로 합의했기 때문이다.
인천항 인근 한·중카페리 선사들도 운항 재개 준비에 한창이다. 선사들은 다음달께 카페리 운영을 재개하기 위해 직원 채용, 시설 개선 등 여객을 맞을 준비 중이다. 인천항만공사(IPA)는 인천관광공사와 중국 관광객 유치 마케팅 등 상품을 개발할 계획이다.
IPA 관계자는 “중국에서 아직 단체 관광 허용 국가에 한국을 포함하지 않은 점은 풀어야 할 숙제”라고 했다. 다만 “이와 별개로 관광비자 발급 재개로 인해 인적 교류가 지금보다 활발해져 인천지역 관광 산업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