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세월호 참사 이후 오랜 시간 제자리걸음 수준인 ‘4·16 생명안전공원’ 건립과 관련해 적극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다짐하면서 향후 첫 삽을 뜰 수 있을지 주목된다.
더불어민주당 강태형 도의원(안산5)은 15일 열린 제367회 임시회 2차 본회의 도정질의에서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이후 도에서 진행하는 관련 사업들이 단순 지원에 그치는 수준”이라며 “특히 4·16 생명안전공원의 경우 국비 403억, 도비 43억, 시비 37억원의 예산을 이미 확보했음에도 불구하고, 세월호 9주기를 한 달 앞둔 아직까지도 별다른 진전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김동연 지사는 “4·16 생명안전공원은 기간이 경과하며 사업비가 늘어 538억원 정도가 됐다. 이와 관련해서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이 아닌가 했더니, 법령에 의해 의무화된 것이라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를 받았다”며 “현재 해양수산부와 기획재정부와 협의 중이다. 비교적 해수부는 긍정적이기에, 향후 기재부와의 협의에 도가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도정질의에서 김 지사는 도내 난임 부부를 위한 지원 확대하겠다고 약속하기도 했다.
김 지사는 이은주 도의원(민주당·화성7)이 ‘저출생 문제가 심각하지만 이에 대한 도의 정책이 미흡하고, 난임 부부 시술 지원도 부족한 실정’이라고 꼬집자 “현재 도가 중위소득 180%, 소득 620만원, 횟수는 21회까지 난임 부부 시술 비용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더 강화해야 한다는 데 전적으로 동의한다”며 “도의 재정 상황을 보면서 확대 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와 함께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이달 내 관련 토론회를 진행할 계획이다. 앞으로 도의회와도 적극적으로 소통해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도정질의에선 김 지사의 대표 공약 중 하나인 경기북부특별자치도를 비롯한 경기 북부지역에 대한 질문이 쏟아지기도 했다. 도정질의에 나선 도의원 7명 중 4명(김민호·김완규·이택수·김정영)이 경기 남북부지역의 균형발전을 강조했고, 김 지사 역시 ‘차별 없는 발전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다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