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로고
[사설] 구로차량기지 광명 이전 일방적 추진, 반대 타당하다
오피니언 사설

[사설] 구로차량기지 광명 이전 일방적 추진, 반대 타당하다

요즘 광명시의 핫이슈는 구로차량기지의 이전이다. 서울시 기피시설의 경기도내 이전이 잇따라 추진되는 가운데 서울지하철 구로차량기지의 광명 이전 계획에 시민 전체가 반발하고 있다.

 

구로차량기지는 1974년 서울지하철 1호선 개통과 함께 구로동 일대에 25만㎡ 규모로 조성됐다. 전동차 수리·점검 시설로 소음과 진동, 분진에 따른 구로구민의 민원이 꾸준히 제기됐다. 2005년 이전 계획이 국무회의에 상정돼 구로구 항동과 부천시, 광명시 등이 이전 후보지로 검토됐지만 해당 지자체의 반발로 논의가 잠정 중단됐다.

 

이후 국토부는 광명시흥 보금자리지구 지정과 함께 차량기지 지하화 등 조건을 내세워 광명 이전을 추진해 왔다. 하지만 보금자리지구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경영 악화로 지정 4년 만에 해제됐다. 철도 차량기지는 2026년까지 1조700여억원을 들여 노온사동으로의 이전을 계획하고 추진 중이다. 광명시는 차량기지 위치 변경, 2개 역사 추가, 차량기지 지하화를 요구했다. 정부는 경제적 타당성이 떨어진다며 모두 거절했다.

 

광명시의 의견을 무시한 채 일방적인 희생만 강요하는 정부 입장에 시민들이 뿔이 났다. 이전 예정지 주변 주민들은 소음·분진 및 지역·녹지 단절의 피해를 입게 된다. 입주를 앞둔 신도시와 하안2지구 주민들도 직접적인 영향권에 포함된다. 몇백m 떨어진 곳에 광명·시흥·부천·인천 지역주민 200만명이 식수로 쓰는 노온정수장이 있어 오염 우려도 있다.

 

박승원 시장은 “차량기지는 도덕산과 구름산을 단절하고, 250m 거리에 있는 하루 56만t의 수돗물을 생산하는 노온정수장을 오염시키는 등 생태계와 환경을 파괴해 시민 건강권을 위협한다”며 “15만2천667㎡ 규모의 차량기지가 이전할 곳이 광명시흥 3기 신도시 인근이어서 신도시 개발 이후 민원 발생 등 논란의 여지도 크다”고 강조했다.

 

광명시는 시의회, 시민사회단체와 함께 공동대책위원회를 꾸려 반대운동을 벌이고 있다. 이들은 지난 2일 정부세종청사를 방문, “불공정하고 비상식적인 구로차량기지 광명 이전을 당장 멈추길 강력 요구한다”는 입장문을 기재부와 국토부에 전달했다. 7일엔 임오경·양기대 등 지역 국회의원과 국회 기자회견을 열고, “중앙정부가 그 어떤 명분도, 타당성도 없는 구로차량기지 광명 이전을 강행하고 있다”며 중단을 촉구했다. 이어 14일에는 경기도의회에서 광명 도의원들과 기자회견을 통해 “구로구민의 민원 해소를 위해 광명시민의 희생을 강요하는 일방적 행정을 중단하라”고 주장했다.

 

충분한 협의와 납득할 만한 보상없이 밀어붙이는 일방적 행정은 지방자치에 역행하는 처사다. 구로구민의 민원만 중요하고, 광명시민의 삶의 질은 무시해도 되는가. 구로차량기지 이전 사업의 전면 재검토가 필요하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