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사업지 역사성·상징성 고려... iH 주도 ‘기본구상 용역’ 발주 수익성 확보 방안 로드맵 모색... 송현자유시장 보상 문제도 숙제
인천시가 16년째 멈춰선 동인천역 일대 개발을 인천도시공사(iH)와 함께 재정 사업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사업성이 낮아 재정을 투입해야 하는 데다, 송현자유시장 보상 문제 등 숙제가 산적해있다.
19일 시와 iH 등에 따르면 최근까지 시와 iH는 동인천역 일대 개발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시와 iH는 동인천역 개발을 정상화하기 위한 논의에 나설 계획이다.
특히 시는 동인천역 일대 재개발 사업의 사업성이 낮다보니, 민간기업을 통한 직접개발이 아닌 iH를 통한 공영 개발 등을 협의하고 있다.
다만 시는 동인천역 일대 개발이 수익성이 낮아 최소한의 수익성을 확보할 로드맵을 그려야 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시는 동인천역 일대의 역사적 의미와 상징성을 고려해 사업에 접근할 계획이다. 이에 시는 수익성이 낮은 만큼, 공영개발로 추진해 일정 부분의 손해는 감수할 예정이다.
또 동인천역 개발을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해선, 이 곳 송현자유시장의 보상 문제를 풀어야 한다. 시장 특성상 소유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협상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시는 올해 하반기 동인천역 일대 개발에 참여하기 위해 수익성 확보 방안에 대한 로드맵을 그리기로 했다. 시는 오는 하반기 안에 iH가 주도하는 형태의 ‘동인천역 주변 전면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기본구상 용역’을 발주할 예정이다.
이후 시는 2024년 상반기까지 개발·실시계획인가를 받고, 2025년께는 착공에 나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시는 2024년까지 주차장 확충을 위한 건물 매입, 계획 인구 마련 등 준비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앞서 시는 지난 2019년부터 LH(한국토지주택공사)를 통한 도시재생뉴딜사업인 ‘동인천역 2030 역전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집수리 리모델링 지원 등에 총 31억원을 투입했다. 현재 시는 추가로 비용 발생을 막고자 예산 집행은 중단했다.
시 관계자는 “올해 추경예산안에 400억원의 송현시장 보상비를 반영할 예정”이라고 했다. 이어 “송현시장을 포함한 동인천역 일대 개발의 속도를 내기 위해서 iH와 논의할 것”이라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