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구직도 취업준비도 하지 않고 쉰 청년층이 50만명에 육박해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2월 비경제활동인구(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인구) 중 활동상태를 ‘쉬었음’이라고 응답한 청년층(15~29세)은 49만7천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모든 달을 통틀어 2003년 1월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규모다.
청년층의 ‘쉬었음’ 인구는 2019년 2월 38만6천명에서 이듬해 2월 43만8천명으로 늘었고, 2021년 2월 44만9천명, 작년 2월 45만3천명으로 해마다 증가하다가 올해 2월 49만7천명을 기록했다. 1년 사이 청년층의 ‘쉬었음’ 인구는 4만5천명(9.9%) 상승한 것이다.
비경제활동인구는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 상태도 실업 상태도 아닌 사람들을 대상으로 활동 상태별로 육아, 가사, 재학·수강 등, 연로, 심신장애 등으로 나뉜다. 이 중 ‘쉬었음’은 기타에 속하는 경우로, 취업준비·진학준비 등과는 구분된다.
통계청은 1년에 한 번 ‘쉬었음’의 주된 이유를 조사하는데, 작년 8월 결과를 보면 ‘몸이 좋지 않아서’(39.4%)가 가장 많았고, ‘원하는 일자리·일거리를 찾기 어려워서’(18.1%), ‘퇴사(정년퇴직) 후 계속 쉬고 있음’(17.3%), ‘일자리나 일거리가 없어서’(7.8%) 등의 순이었다. 하지만 이는 전 연령을 포함한 조사여서, 청년층만 보면 ‘몸이 안 좋아서’의 비율은 이보다 낮고,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서’ 비율은 이를 상회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와 함께 구직단념자는 지난달 35만8천명으로 1년 전보다 15만5천명 감소했다. 구직단념자는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을 희망하고 취업도 가능했으나, 노동시장의 사유로 일자리를 안 구한 자 중 지난 1년 내 구직 경험이 있었던 자를 의미한다. 취업 포기자보다 다소 좁은 개념이다.
아울러 지난달 청년 취업자는 385만3천명으로 1년 전보다 12만5천명 줄었다. 2021년 2월(-14만2천명) 이후 2년 만에 최대 감소 폭이다. 청년층 고용률도 45.5%로 1년 전보다 0.4%포인트 하락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