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 인력’ 신규 일자리 용두사미... 현실은 단순 노무·단기 일자리뿐 공간확보율도 목표치 크게 미달
최근 기후·식량 위기의 해결 열쇠로 도시 공간을 활용한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이 주목되고 있지만 경기도내 발전 가능성은 암울한 상황이다.
경기도와 일선 시·군의 의지 부족으로 중·장기적 육성 계획에 담았던 ‘일자리 창출’ 및 ‘공간확보’ 현황이 목표치에 한참 못 미치기 때문이다.
26일 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2019년 도내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민·관합동 TF(태스크포스)를 구성, 6차례의 검토 회의를 거쳐 ‘도시농업 육성 종합계획(2019~2023)’을 수립했다. ‘도시농업 일자리 창출’과 ‘도시농업 공간확보’ 등을 통해 도내 도시농업을 지속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해서다.
문제는 도가 시행 중인 도시농업 일자리 정책이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꾀했던 당초 취지와는 거리가 멀다는 데 있다.
도는 계획 당시 ‘전문 인력’ 중심의 신규 일자리 5종을 창출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진단평가자와 강사, 프로그램 기획관리자, 도·농 상생 기획자, 사회적 도시농업 기획자 등이 이에 해당한다.
하지만 현재 도가 추진 중인 일자리 사업 유형은 단순 노무와 단기 일자리 사업뿐이다. 사업 유형별로 보면 텃밭보조형(텃밭 잡풀제거), 사회공헌형(재배물품 포장, 배달 등), 교육지원형(옥상 텃밭 재배기법 등 교육) 등 3가지에 그친다.
게다가 도내 도시농업을 위해 목표했던 공간확보율 역시 올해까지 달성하겠다던 목표치의 절반에도 못 미쳐 사실상 목표 달성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도는 올해까지 도내 도시농업 공간 400ha를 확보하겠다고 밝혔지만, 지난해 기준 절반치인 200ha로 조사됐다. 특히 공간 조성 핵심 사업 중 하나인 공영 도시농업 농장은 시·군별로 1개소씩 해당 농장을 조성하기로 계획했는데, 현재 도내 공영 농장은 10개소에 불과하다.
이에 일각에서는 시·군과의 긴밀한 협조 체계를 구축해 도민의 참여도를 이끌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지구온난화 등의 기후위기와 이에 따른 곡물가의 가파른 변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민·관 네트워크 형성이 기본이라는 입장이다.
‘경기도 도시농업활성화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대표 발의한 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소속 최만식 의원(더불어민주당·성남2)은 “현장과 연계한 도시농업 전문가 양성과 공간확보는 도민과 가까이 있는 시·군과의 협조가 중요하다”며 “주기적인 만남을 통해 민·관 네트워크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 관계자는 “도가 수립한 도시농업 종합계획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