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명이 272명 안전 전담...경기도내 응급관리요원 ‘헉헉’

응급안전서비스 이용 매년↑... 전국 평균 229.4명보다 높아
낮은인건비도 인력난 ‘한몫’... 복지부“증원·인건비 검토중”

image
관련사진. 이미지투데이

사회적 취약계층의 안전을 책임지는 도내 응급관리요원이 1인당 관리해야 할 대상자가 300명에 육박한 것으로 드러나며 인력 확충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6일 경기도에 따르면 응급안전안심서비스는 중증장애인·독거노인의 가정에 화재·가스감지기 및 활동량 감지기, 응급호출기, 출입문 감지기 등 가정내  ICT 기기를 설치해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응급관리요원을 통해 위급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응급안전안심서비스를 최근 3년간 이용한 대상자 수는 2020년 1만3천505명, 2021년 1만8천137명, 2022년 2만2천861명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문제는 이에 비해 응급관리요원 수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최근 3년간 도내 응급관리요원 수를 보면 2020년 67명, 2021년 69명이었다가 지난해 84명으로 소폭 증가했다. 요원 수가 다소 늘었지만 요원 1인 당 독거노인, 중증 장애인 272명을 담당하고 있는 셈이다. 

 

이는 전국 평균인 229.4명 보다도 훨씬 많으며 인천(119명), 제주(132.2명), 울산(193.3명) 등 다른 지역과 비교해도 많은 수의 대상자를 관리하고 있다.  

 

현장에선 응급관리요원 수가 적은 이유로 낮은 인건비를 꼽는다. 경기도의 응급관리요원의 1인당 월 평균 급여는 202만3천원이다. 이는 전국 평균인 208만원에도 못 미치며 강원(228만9천원), 경북(220만9천원) 등 다른 지역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응급관리요원은 지자체 계약직으로 정부가 일정 부분 급여를 보조하고, 나머지는 각 지자체가 재량으로 책정해 지급한다. 올해의 경우 총 예산 58억7천481만6천원으로 국비와 지자체비가 각각 50%씩 투입됐다. 

 

경기도 관계자는 “보건복지부에서 예산이 늘어나야 인건비를 늘릴 수 있다”고 토로했다. 

 

이에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인력 증원과 인건비 등에 대해 내부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