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WHO 고령친화도시 인증

27일 인천시청 장미홀에서 열린 ‘WHO 고령친화도시 인증 획득 기념식 및 2023년 제1회 노인정책자문위원회’에서 유정복 인천시장(오른쪽 5번째)이 자문위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고령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돌봄·보건체계를 만든다. 

 

시는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고령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 가입을 인증 받았다고 27일 밝혔다. 고령친화도시는 WHO가 지난 2006년부터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고령화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추진하는 프로그램이다. 

 

고령친화도시로 인증 받으려면 교통과 주거, 사회참여 등 8개 영역 84개 세부항목에서 WHO 기준을 맞춰야 한다. 올해 전 세계 51개국 1천445개 도시가 고령친화도시로 가입해 있다. 

 

시는 고령친화도시 인증을 위해 지난해 7월 ‘시민이 함께 만드는 고령친화도시 인천’을 비전으로 하는 ‘인천시 고령친화도시 1기 3개년 실행 계획’을 세웠다. 계획에는 WHO 가이드가 명시한 8대 영역 외 시가 자체적으로 만든 5대 영역을 토대로 13개 세부과제, 62개 세부사업을 담았다. 

 

특히 시는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시민의 관심과 참여를 높이기 위해 지난 2021년부터 ‘50+ 고령친화 모니터링단’을 운영했다. 이를 통해 8대 영역에 대해 조사하고 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시는 또 노인정책자문위원회를 지난 2004년부터 운영, 행복한 노후와 안정적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 제안을 받고 있다. 이와 함께 2015년 4월 ‘인천시 고령친화도시 구현을 위한 노인복지 지원 기본조례’를 제정해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도 했다. 

 

시는 이번 WHO 고령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 인증을 바탕으로 전 연령층이 더불어 살기좋은 거주환경을 조성할 방침이다. 시는 또 사회통합을 촉진해 양질의 지역사회 돌봄·보건체계를 구축하고, 시민과 함께 고령친화도시 인천을 만들 계획이다. 

 

유정복 시장은 “고령친화도시 가입이 고령화 사회에 대한 인천시민의 인식이 전환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어르신이 행복하고 모든 세대 삶의 질이 높아지는 고령사회를 열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