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학교 급식조리사 등 파업…임금 인상 및 노동 환경 개선 요구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인천지부는 31일 인천 남동구 구월동의 인천시교육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물가 상승을 고려한 실질 임금 인상 등을 촉구하고 있다. 황남건기자

 

인천지역 학교에서 근무하는 급식조리사(조리실무사) 250명 등 교육 공무직 노동자들이 31일 파업을 하고 교육 당국에 임금 체계 개편 등을 요구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인천지부는 이날 인천 남동구 구월동의 인천시교육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물가 상승을 고려한 실질 임금 인상 등을 촉구했다. 본부는 또 학교 급식실 노동 환경 개선도 주장했다.

 

이날 집회에는 조리실무사 250여명을 포함해 주최측 추산 총 500여명 이 참여했다.

 

한혜경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인천지부장은 “시교육청은 오래 일할수록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격차는 벌어지는데, 근속 수당마저 동결하자고 한다”고 했다. 이어 “시교육청은 평생 저임금으로 살게 만드는 임금체계 개편에 대해 노동자 측과 허심탄회하게 대화할 수 있는 협의체를 구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본부는 또 지난 14일 교육부에서 발표한 학교급식 종사자 폐 CT 결과에 대해 산재 예방을 위한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본부는 기름을 고온에서 조리할 때 나오는 발암물질 조리흄에 대한 1인당 작업 시간 제한 의무화 등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한편, 인천시교육청은 이날 오전 10시 기준 인천 학교 557곳에 근무하는 비정규직 노동자 9천899명 중 1천182명(11.94%)이 파업에 참여한 것으로 파악했다.

 

시교육청은 지역의 학교 557곳 중 파업 참여율이 높은 학교 164곳(29.3%) 중 163곳은 빵과 우유 등 대체급식을 했고, 1곳은 간편식을 제공했다.

 

시교육청은 또 지역의 초등돌봄전담사 646명 중에서 17명(2.6%)이 파업에 참여했음에도 파업에 참여하지 않은 초등돌봄전담사를 활용해 돌봄교실 모두 정상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유치원 방과후 과정은 197곳 가운데 1곳만 운영하지 않는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다음달 7일 임금에 대한 협상을 할 예정”이라며 “파업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