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재외동포청 유치 성공할까 ‘쏠린눈’

외교부, 4일 ‘재외동포청 직제에 대한 계획안’ 국무회의 상정
지역 안팎서 윤석열 대통령 유치지역 지정 발언 ‘기대감’

유정복 인천시장이 국회에서 열린 재외동포청 인천 유치관련 정책간담회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성만 국회의원, 조성환 행정안전부 청사시설기획관, 김교흥 국회의원, 유정복 인천시장, 정일영 국회의원, 배준영 국회의원, 이행숙 문화복지정무부시장, 김민철 외교부 재외동포영사기획관

 

인천의 재외동포청 유치 성공 여부가 오는 4일 판가름날 전망이다. 외교부가 윤석열 대통령이 참석하는 4일 국무회의에서 재외동포청 관련 안건을 상정할 예정인 가운데 인천지역에서는 유치에 대한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2일 외교부와 인천시 등에 따르면 외교부는 4일 열리는 국무회의에 ‘재외동포청 직제에 대한 계획(안)’을 상정한다. 

 

이날 윤 대통령은 국무회의의 모두발언 등을 통해 재외동포청 유치에 적절한 지역을 언급할 가능성이 있다. 외교부는 앞서 지난 29일 차관회의를 열고, ‘재외동포청 직제에 대한 계획(안)’을 논의하고, 재외동포청의 업무 범위와 조직 규모를 잠정적으로 정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오는 4일 ‘재외동포청 직제에 대한 계획(안)’을 국무회의에 상정 할 예정”이라며 “국무회의 상정 이후 오는 6월5일 개청을 위한 신설 준비 작업에 나설 계획”이라고 했다. 

 

외교부는 병무청과 재외동포재단 등으로 나뉜 영사·법무·교육 등 민원서비스를 재외동포청을 통해 재외동포들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또 외교부는 재외동포청 조직을 3~4국, 150~200명 규모로 구상하고 있다. 예산은 1년에 약 1천억원 규모로 편성할 예정이다.

 

지역 안팎에서는 유정복 인천시장이 지난 2월28일 윤 대통령과의 단독 오찬 회동을 통해 재외동포청 인천 유치를 주요 안건으로 건의한 만큼 유치 성공에 대한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인천은 하와이로 출발한 최초의 근대이민자 121명의 역사의 상징성을 가지고 있고, 인천국제공항과 인천항을 품고 있는 지리적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현재 재외동포재단은 제주도에 있어 재외동포들이 인천공항에서 비행기를 갈아타고, 제주도로 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인천에 재외동포청이 들어서면 재외동포 사회 조성에 따른 사회·경제적 효과가 나타날 전망이다.

 

우선 이들 생활에 필요한 사회적 환경을 조성하고, 투자를 위해 인천경제자유구역(IFEZ)을 연계할 수 있다. 이를 통한 재외동포들의 모국 투자 등으로 투자유치 이점도 가져올 수 있다. 또 영종국제도시의 한상드림아일랜드가 세계 해외 동포 경제인의 모임인 ‘세계 한상인 네트워크’의 구심점이라 잠재적인 효과도 있다. 이 밖에도 재외동포청 소속 직원과 가족 등이 가져올 지역의 경제효과도 무시할 수 없다.

 

반면, 외교부가 지난달 서울정부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 후 기자간담회에서 재외동포청 위치에 대해 서울이 적절하다고 발언하는 등의 ‘서울 유치론’은 인천 유치의 장애물로 꼽힌다. 

 

시 관계자는 “지난 윤 대통령과의 단독 오찬 회동에서 재외동포청 유치에 대한 건의를 한 것은 사실”이라며 “(윤 대통령이)유치 지역을 국무회의에서 밝힐 지, 다른 방식으로 지정할 지 알 수 없다”고 했다. 이어 “시민들과 여러 단체들과 함께 재외동포청 유치를 위해 뛰어온 만큼, 재외동포청 유치를 통해 결실을 맺고 싶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