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나라 자영업자들의 대출 규모가 1천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됐다. 역대 최대 수준이다.
3일 한국은행이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에게 제출한 ‘자영업자 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전국 자영업자의 대출은 1천19조8천억원 규모로 추산됐다.
이 수치는 한은이 자체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개인사업자대출 보유자를 자영업자로 간주하고, 이들의 가계대출과 개인사업자대출을 더해 분석한 결과다.
종류별로 보면 사업자대출이 671조7천억원으로 가계대출(348조1천억원)보다 2배가량 많았다.
자영업자 대출액은 지난해 3분기(1천14조2천억원) 처음 1천조원을 돌파한 뒤 계속 늘어 4분기에도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다만 증가율(0.6%)은 3분기(2.0%)보다 낮아졌다.
문제는 이자다. 지난해 연속적인 기준금리 인상이 벌어지면서 대출금리도 상승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른 자영업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 증가분을 추산(작년 4분기 말 변동금리 비중 추정값 72.7% 바탕)한 결과, 대출금리가 0.25%포인트(p) 높아지면 전체 이자액은 1조9천억원, 1인당 평균 연이자는 60만원 증가하는 것으로 계산됐다. 1.50%포인트 오르면 1인당 증가액은 362만원까지 늘었다.
예를 들어 지난 1년 반 사이 기준금리 인상 폭(3.00%포인트)만큼 대출금리가 뛰었다면, 이자는 산술적으로 724만원 추가됐다는 의미다.
특히 전체 자영업 대출자 가운데 절반 이상(173만명·56.4%)은 가계대출을 받은 금융기관 수와 개인사업자대출 상품 수의 합이 3개 이상인 ‘다중채무자’로 나타났다. 10명 가운데 6명이 더 이상 추가 대출을 받기 어려운 한계 차주인 수준이었다.
대출액 기준으로는 전체 자영업 대출의 70.6%(720조3천억원)를 다중채무자가 차지했다. 이들의 1인당 평균 대출액은 작년 4분기 말 기준 4억2천만원으로 예상된다.
다중채무자의 이자 부담 역시 일반 자영업 대출자보다 높을 수밖에 없다. 금리가 0.25%포인트, 1.50%포인트 인상되면 자영업 다중채무자의 1인당 연이자는 76만원, 454만원씩 불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