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의료폐기물의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의료기관에 휴대용 리더기인 ‘비콘태그’ 설치를 의무화했지만, 경기도 병원의 설치율이 전국 최하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지자체에서 비콘태그 설치율을 높이기 위해 실태조사 등을 통해 관리방안을 마련하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는 여전히 현황 파악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3일 환경부에 따르면 의료폐기물의 인수·인계 방식 개선을 통한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지난 1일부터 모든 의료기관에 비콘태그 설치를 의무화했다.
종전 병원·보건소 등 의료기관에서는 의료폐기물을 전용 수거함에 버려야 하지만, 그동안 일부 의료기관이 폐기물을 일반쓰레기로 배출하면서 관리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에 환경부는 의료폐기물 배출장소에 고정식 비콘태그를 설치해 폐기물 인계·인수 시 휴대용 리더기로 배출자의 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했다. 의료폐기물의 배출장소와 배출자를 명확히 함으로써 보관 및 위탁처리를 적정하게 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지난 2월 기준 경기 지역에서는 의료폐기물 사업장의 85%만 비콘태그를 설치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주환 국회의원(국민의힘·부산 연제구)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의료폐기물 사업장 현황’을 보면, 도내 비콘태그 구매 대상지인 2만1천406곳 중 1만8천329곳(85.6%)만 설치를 완료했다.
전국 평균 설치율이 89.8%인 가운데, 경기도의 설치율은 17개 시·도 중 15위다.
특히 다른 지자체에선 비콘태그의 설치율을 높이기 위해 실태조사·표준관리방안 등을 마련하고 있지만, 경기도는 여전히 대책이 전무한 상태다.
경상남도는 비콘태그를 구비하지 않은 의료기관에 설명회·간담회를 진행하고, 경상북도는 미구비 병원에 우편물 등으로 홍보·계도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또 전라북도는 시·군별 실태조사를 하는 한편, 시·군 약사회의 의견을 수렴해 의료폐기물의 표준관리안을 마련하고 폐의약품의 수거기관을 읍·면·동의 행정복지센터로 확대할 방침을 세웠다.
세종시 역시 학교·의료기관 등에서 ‘폐의약품 집중수거의 날 캠페인’을 벌이고 폐의약품 반납·관리 방안을 홍보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비콘태그 설치 기관을 파악하는 중이며 각 시·군에 공문을 3차례 보내 비콘태그 설치를 당부했다”며 “환경부의 계도 기간이 늘어나 그에 따른 의료폐기물 관리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