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이 오는 2025년 한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유치할 경우 생산유발효과가 1조5천여억원에 이를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6일 인천연구원이 APEC 정상회의의 인천 유치시 경제적 효과를 분석한 결과, 직접적인 정상회의 참가자들의 소비지출은 523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05년 부산 APEC 정상회의와 유사한 수준의 참가규모와 인프라 투자, 단기적 인반관광객 증가를 가정해 분석한 수치다.
인천연구원은 정상회의 참가자들의 직접적 소비지출 예상 금액으로 숙박비가 4~5성급 객실 2만7천286개를 기준으로 했을 때 65억원으로 추정했다. 여기에 정상회의 및 투자환경설명회 등의 참석자 2만2천여명이 평균 8.8일을 체류할 경우 지역 관광소비 지출액은 457억원으로 내다봤다.
인천연구원은 인천이 APEC 정상회의를 유치하면 투자 및 소비지출 증가 등에 따른 인천지역 간접적 파급효과가 상당한 것으로 분석했다.
인천연구원은 인프라 투자, 인력·물자 지원, 참가자 관광지출, 관광 수요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생산유발효과가 1조5천316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8천380억원, 취업유발효과 2만571명 등으로 추정했다.
특히 인천연구원은 인천은 송도컨벤시아 등 부산보다 국제회의를 위한 제반 인프라가 충분히 갖춰져 있는 만큼, 적은 인프라 투자로도 APEC 정상회의 개최가 가능해 비용 대비 효과가 타 도시에 비해 높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 때문에 인프라 투자에 따른 파급효과를 빼더라도 생산유발효과는 1조3천13억원으로 매우 높다.
인천연구원은 이 밖에 지역기업의 투자유치 및 부가가치가 높아지는 효과, 인천이라는 도시브랜드의 가치가 높아지는 효과까지 더하면 APEC 정상회의 유치로 인한 파급효과가 더욱 크다고 봤다.
인천연구원은 인천의 관광인프라를 점검하고 관광콘텐츠를 개발,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인천에 관광객을 크게 늘릴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또 인천지역 기업들이 최고경영자 회의나 투자환경 설명회 등을 통해 적극적인 튜자유치에 나설 수 있도록 애써야 한다고도 제언했다.
박찬열 인천연구원 경제환경연구부 연구위원은 “현재는 인천의 인프라 장점 등을 부각시키고 시민 참여를 이끌어내 APEC 정상회의 유치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시점”이라고 했다. 이어 “유치 가능성을 높이고 성과·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문화·관광·교통·환경·산업 등 각 분야에서 전방위적인 사업 발굴을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