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외국인직접투자(FDI) 1~3월 도착액이 지난해 대비 15% 감소했다. 이에 대해 인천경제청은 현재 인천경제자유구역(IFEZ)에 투자유치가 가능한 산업용지가 부족한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6일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따르면 인천의 지난 1~3월 FDI는 7천500만달러(989억6천250만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1천330만달러(175억5천600만원) 감소했다. 주요 투자 실적에는 인천경제청이 지난 2월 비엠더블유코리아㈜와 한 자동차 전장시스템 개발 및 테스트센터 건립 협약 등이 있다.
인천의 FDI 실적은 해마다 감소세다. 특히 지난해에는 당초 목표액인 6억달러(7천950억원)의 20%에 불과한 FDI를 기록했다.
이는 IFEZ에 투자유치가 가능한 땅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인천경제청이 지난 10년간 벌어들인 9조7천754억원 중 87%가 토지매각에 따른 수입이다. 현재 인천경제청이 투자유치를 할 수 있는 송도의 산업용지 중 6%만 남아 있는 상황이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현재 입주를 원하는 기업도 땅이 없어 들어오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투자유치 실적이 저조한 것은 이미 입주한 기업들이 더 많기 때문이다”고 했다.
지역 안팎에서는 인천경제청이 IFEZ 확대를 통해 투자유치가 가능한 땅을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청라국제도시와 영종국제도시의 경우 대부분 LH(한국토지주택공사)와 인천도시공사(iH)의 땅이기 때문에 투자유치 실적을 늘리는 데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인천경제청은 IFEZ 확대를 위한 용역도 추진할 예정이다. 인천경제청은 오는 2027년까지 총 107억원을 투입해 송도유원지 일대(2.67㎦)와 내항(3.01㎢), 수도권매립지(16.85㎢), 강화남단(18.92㎢)의 IFEZ 지정 타당성 용역을 추진할 계획이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FDI를 늘리려면 다양한 기업이 들어올 수 있는 용지를 확보해야 한다”며 “현재 용역을 추진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투자유치용지 추가 확보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