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 농산물 등 공급 측면의 가격 상승이 품목 전반에 영향을 끼쳐 지난달 기준 가격이 오른 소비자물가 구성 품목 수는 되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 상승세 둔화는 느리게 이뤄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10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구성 품목 458개 중 전년 동월 대비 가격이 상승한 품목 수는 395개로 86.2%를 차지했다. 물가 상승이 정점이었던 지난해 7월(383개, 83.6%)과 비교하면 가격이 상승한 품목 수는 되레 증가한 것이다.
유가 등 공급 측면에서 촉발되는 가격 상승이 품목 전반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게 원인이란 분석이다. 작년 7월에는 등유(80.0%), 식용유(55.6%), 경유(47.0%) 등이 공급 충격을 직접 받아 상승률이 높았다. 지난달에는 도시가스(36.2%), 드레싱(34.5%), 지역난방비(34.0%) 순으로 상승률이 컸는데, 이는 원자재 가격 상승이 원가 인상 요인으로 작용한 품목들이다.
이런 가운데 근원물가(주변 환경에 민감하지 않은 물품을 기준으로 산출되는 물가) 오름세 역시 이어지고 있다. 공급 요인으로 꼽히는 농산물, 석유류 등을 제외한 나머지 품목들에서 원가 인상, 물가 상승에 대한 기대 심리 등이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 지난달 농산물·석유류 제외 지수(근원물가)는 한 달 사이 0.2% 상승해 전월 대비 기준 2020년 11월 0.5% 오른 이후 29개월째 오름세를 유지 중이다.
이 같은 근원물가 상승세는 전체 소비자물가보다 더디게 둔화할 것으로 보인다. 석유류 가격 하락이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낮추고 있지만, 서비스 가격은 가격 경직성이 높아 쉽게 안 내려가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한국은행은 경제전망에서 농산물·석유류 제외 지수 상승률이 작년 하반기 4.6%에서 올해 상반기 4.4%, 하반기 3.3%로 둔화할 것으로 예측했다. 하지만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하반기 5.6%에서 올 상반기 4.0%, 하반기 3.1%로 떨어질 것으로 봐, 올해 근원물가 상승률이 전체 물가 상승률을 웃돌 수 있다고 분석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